경기도교육청, 학교자율역량 지수 개발 정책연구 토론회 개최

입력 2024년10월31일 18시38분 민일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경기도교육청, 학교자율역량 지수 개발 정책연구 토론회 개최경기도교육청, 학교자율역량 지수 개발 정책연구 토론회 개최


[여성종합뉴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학교자율역량 지수 개발 정책연구 토론회’를 31일 오후 남부청사에서 개최했다. 


도교육청은 학교자율역량 지수와 진단 도구를 개발해 학교의 자율역량을 강화하고 학교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책연구를 추진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장과 소통하며 학교자율역량 향상의 체계적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토론회는 교장, 교사, 장학사, 외부 전문가 등이 패널로 참여하고 교직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에서 숭실대학교 한윤영 교수는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학교자율역량의 이론적 모델을 제안하고 학교의 자율역량을 타당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지수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서는 학교자율역량 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자율적 학교 운영, 협력적 성장 문화, 미래 교육과정 3개 영역과 하위 10개의 구성 요인으로 제시했다. 


패널로 참여한 백암초등학교 하춘식 교장은 학교자율역량 지수가 학교자율과제를 내실있게 운영하도록 돕는 안내서가 될 수 있고, 이를 활용해 학교자율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광명교육지원청 정효숙 장학사는 학교 현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는 정책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연구가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장재홍 박사는 학교의 조직적 관점에서 선행된 학교자율역량 연구가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를 통해 학교 역량 수준을 진단하는 타당성과 신뢰도 높은 지수가 개발되길 바란다는 기대를 밝혔다. 


도교육청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학교자율역량 지수를 활용해 학교의 자율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현장 적용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학교자율과제를 운영하며 경기교육의 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모든 학교에서는 교육공동체 숙의를 거쳐 학교자율과제를 운영하고 자율성과 책무성을 기반으로 학교 현안을 해결하고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백수현
백수현
민일녀
박주현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