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라만 분광법 통한 효율적인 나노플라스틱 분석 기술 개발

입력 2025년01월10일 09시30분 민일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AAO 멤브레인으로 필터와 라만 분석 기판 동시 실현 기존 비효율적 전처리 과정 거치지 않고 성공적으로 분석

인하대, 라만 분광법 통한 효율적인 나노플라스틱 분석 기술 개발인하대, 라만 분광법 통한 효율적인 나노플라스틱 분석 기술 개발

사진 왼쪽부터/신동하 인하대 화학과 교수, 신동하 교수 연구팀인 서주희(석사과정), 신고균(석사과정) 학생.

[여성종합뉴스]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신동하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양극 산화 알루미늄(AAO) 멤브레인을 활용해 나노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라만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라만 분광법은 물질의 고유한 화학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비파괴적 기술이다.

 

환경 분야에선 미세플라스틱 분석에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AAO 멤브레인은 알루미늄 표면을 특별한 방식으로 처리해 만든 소재로, 알루미늄을 전기적 산화 공정을 통해 제작하는 균일한 다공성 구조를 말한다.

신동하 인하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양극 산화 알루미늄(AAO) 멤브레인을 활용한 나노플라스틱 분리 및 라만 분석 기술.

처리 과정에서 나노 크기의 작은 구멍이 많은 막(멤브레인)을 만든다.

 

구멍의 크기나 구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AAO 멤브레인의 다공성 특성을 활용해 전처리용 필터로서의 성능을 평가하고, 동시에 이를 라만 신호를 증폭하는 기질로 사용해 검출 효율성을 높였다.

 

기존에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AAO 멤브레인 자체 특성을 활용해 성공적으로 나노플라스틱 분석에 적용한 것이다.

 

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분석화학 분야의 유명 국제학술지인 ‘Water Research’(JCR 상위 0.4% 이내)에 최근 게재됐다.

 

신동하 인하대 화학과 교수는 “최근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이와 관련된 전처리 방법 등 기술의 발전이 시급하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나노플라스틱과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백수현
민일녀
박주현
백수현
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