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WHO 권고치의 2배 20㎍/㎥ 이상 '초미세먼지 농도 노출 인구 비중 55.1%' 가장 높아....

입력 2020년03월14일 11시53분 연합뉴스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OECD '2020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 36개국 중 26개국은 '권고치 2배' 노출 인구 비율 0%

지난달 21일 오후 서울 종로에서 코로나19 관련 전광판 뒤로 시내가 뿌옇게 [연합뉴스 자료사진]
[여성종합뉴스/민일녀] 14일 OECD가 최근 발간한 '2020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최신집계(2017년) 기준으로 한국 인구 중 99.2%가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10㎍/㎥에 노출된 것으로 파악, 한국 인구 10명 중 6명 가까이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고한 수준의 2배가 넘는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고 10㎍/㎥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초미세먼지 농도 권고치다.
 
이 수준을 넘는 초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인체에 해로울 수 있음을 뜻으로  체코(99.9%), 그리스(99.6%), 헝가리(100%), 이스라엘(100%), 멕시코(99.6%), 네덜란드(99.5%) 등과 함께 인구 대부분이 10㎍/㎥의 초미세먼지 농도의 대기 상태에 노출돼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초미세먼지 농도 10㎍/㎥의 대기를 접하는 인구의 비율은 36개 OECD 회원국(터키 제외) 평균이 62.8%라는 점에서 한국처럼 90% 이상의 비율을 기록한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대기오염 환경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초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구간별로 쪼개보면 한국의 대기 오염은 다른 국가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에서 WHO 권고치의 2배인 20㎍/㎥ 이상 초미세먼지 농도에 노출된 인구 비중이 55.1%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고 2위인 칠레(42.5%)보다도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3∼5위인 멕시코(20.7%), 폴란드(19.8%), 이스라엘(10.6%)은 한국보다 이 비율이 30%포인트 이상 낮았고 나머지 OECD 회원국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인구 대부분이 WHO 권고치에 해당하는 대기에 노출된 국가 중에서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헝가리는 20㎍/㎥ 이상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인구 비중이 0%였다.
 

이들 국가를 포함해 36개국 중 26개국에서 20㎍/㎥ 이상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인구 비중이 0%로 나타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WHO 초미세먼지 권고 수준은 각국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만들어낸 기준"이라며 "궁극적으로 WHO 권고 수준의 대기 질을 달성하기 위해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올해 초미세먼지 농도 목표는 20㎍/㎥이다.
 

정부는 석탄발전소의 신규 건설을 중단하고 친환경 연료로 전환을 유도하는 등 대기 정책을 통해 2040년 초미세먼지 농도를 WHO 권고 수준으로 저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