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시중은행 '내달부터 연 3~4%대 2차 소상공인 긴급대출' 시작

입력 2020년04월29일 09시04분 연합뉴스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기업은행, 시중은행으로 나눠졌던 긴급대출 접수창구는 6대 시중은행 창구로 일원화....

[여성종합뉴스] 10조원 규모의 2차 소상공인 긴급대출 상품의 금리가 연 3~4% 수준으로 결정됐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기업은행, 시중은행으로 나눠졌던 긴급대출 접수창구는 6대 시중은행 창구로 일원화된다.


정부는 29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소상공인 긴급대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영업에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들에게 정부가 초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먼저 2차 긴급대출 프로그램은 금리가 중신용자 기준으로 연 3~4% 수준으로 결정됐다.


이는 연 1.5%로 설정했던 1차 긴급대출 프로그램보다 높아진 수준이다.


대출금리 인상은 가수요 차단 목적으로 보인다.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영세 소상공인들이 접할 수 있는 제2금융권 자금의 대출금리가 연 20% 안팎인데 연 1.5% 금리의 대출을 내주다 보니 기존 대출에 대한 대환 수요 등 가수요가 촉발돼 1차 긴급대출 자금이 너무 빠르게 소진됐다.


금리가 올라가면 가수요가 줄어 한정된 예산으로 더 많은 실수요자에게 자금을 고루 나눠줄 수 있게 된다.


같은 이유로 1차 소상공인 긴급대출을 받은 사람은 2차 긴급대출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대출 접수창구는 신한·국민·우리·하나·기업·농협 등 6개 시중은행으로 변경된다.


기존에 소상공인진흥공단(저신용자)과 기업은행(중신용자), 시중은행(고신용자)으로 나눠 접수를 받았던 것을 6대 시중은행으로 일원화한 것이다.


6대 시중은행으로 창구를 통일하면 대출 신청과 접수, 보증심사 등 절차가 모두 원스톱으로 처리된다.


정부는 지난 3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지원하고자 12조원 상당의 1차 긴급대출 프로그램을 가동한 바 있다.


자금 소진 속도가 워낙 빨라 1차 프로그램에 4조4천억원을 증액했으며, 내달부터 가동되는 2차 프로그램에는 10조원을 추가 배정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