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방유 대응 전반

입력 2024년05월13일 11시22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4차 방류까지 우리정부의 대응 경과를 요약 설명

[여성종합뉴스 /백수현기자] 정부는 13.(월) 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11년 3월부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고 밝히고 지난 4차 방류까지 우리정부의 대응 경과를 요약 설명했다.

오염수 해양 유출이 확인된 13년8월 후쿠시마 인근 8개 현 수산물 전 품목을 수입금지등 한층 강화된 임시 특별조치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견고하게 유지중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우리 해역의 안전성을 확인하기위해 방사능 조사정점을 지속적으로 늘려 왔다고 밝히고 국내해역 정점을 200개 까지 확대하고 일본 인근 공해 상 조사를 도입 하는 등 빈틈없는 감시체계를 갖추고 국민의건강과 안전에 조금도 영향이 없도록 감시체계를 구축한 점을 강조했다.

 

한편으로는 IAEA. 런던 협약의정서 총회 등 국제무대에서는 일본 측에 오염수 관련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국제법. 국제기준에 부합한 오염수 처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꾸준하게 내왔음을 강조했다.

 

또한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IAEA.의 모니터링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일본과는 양자 협의를 통해 한-IAEA.정보 메커니즘(IKFIM),한-일 간 핫라인 구축 등 방류에 대비한 다층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방류기간에는 실시간 데이터. 후쿠시마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등을 통해 특이사항발생 여부를 상시 확인하였고 전문가 현지 파견과 한-IAEA 화상회의 등을 통해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남지 않도록 적시에 정보를 공유도 했다고 전했다.

 

특히 올해 3월 15일에 후쿠시마 앞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4차 방류가 일시적으로 중단 되었을 때도 신속한 상황을 파악해 안정성을 확인하고 국민께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24년 국내해역의 방사능 조사 정점을 기존200개에서 243개로 늘리는 등 우리 해역의 감시망을 좀더 촘촘히 하여 국내 수산물에만 도입 하던 국민신청 방사능검사를 수입 수산물까지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기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해 6월15일부터 시작된 일일 브리핑을 통해 국민들에게 소상하게 전달되어 언론과 국민의 관심 속에서 지난해 4차례방류를 거치면서 처리수 이해도가 작년 여름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고 또한 사실관계에 오류가 있는 보도가 없었던 것과 현황을 설명하는 보도 또한 사실관계를 정확히 묘사하고 있는 것은 그간 정부의 부단한 노력에 대한 방증이라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일 일 브리핑 중심으로 이루어 졌던 현행 소통방식에서 (기존 주2회 대면 ,주3회 서면) 다음 주 부터 주 1회 수요일 서면으로 브리핑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상 상황이 발생으로 인한 방류중단 방류개시 등 국민에게 신속하게 알려야할 사항 이 발생하면 수요일이 아니더라도 즉시 브리핑을 개최 한다고 밝혔다.

 

브리핑은 줄어들지만 우리정부는 방류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방류 활동 등조치는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하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속적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