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 “생활고·빈부 격차로 긴급지원 요청" 잦아져

입력 2017년06월09일 17시13분 성순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여성종합뉴스] 경기 침체에 따른 생활고와 소득 양극화로 인한 빈부 격차가 심해지면서 광주 남구에 긴급 지원을 요청하는 도움의 손길이 잦아지고 있다.


9일 남구는 지난 5월말 기준으로 취약계층 긴급지원 사업을 통해 생계유지가 곤란한 주민들에게 지원된 금액은 12억663만원(총 2,283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 한해 취약계층 긴급지원 사업을 위해 배정된 예산 총 23억원 가운데 약 52.5%에 달하는 사업비가 2분기가 끝나기도 전에 조기에 지원된 셈이다.


이중 생계 관련 지원 금액이 9억3,162만원(1,261건)이었고, 주거 지원 및 의료지원은 각각 4,252만원(141건)과 1억5,058만원(88건)에 달했다.


이러한 추세는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경기 불황과 이혼 및 가출 등으로 인한 가족 붕괴 등 복합적인 사회현상에 따른 영향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긴급지원을 신청한 많은 주민들의 사례에서도 이 같은 현상은 나타나고 있다.


A씨는 가정폭력에 시달리다 아이들과 함께 집을 나와 양림동에 생활기반의 터를 잡았으나 둘째 아이가 뇌종양으로 약을 복용 중에 있고, 셋째는 가정폭력 후유증으로 자해를 하는 등 생계유지가 되지 않아 주거비 및 생활비를 지원받기도 했다.


저소득 독거노인인 B씨는 시각 장애를 앓고 있는데다 배우자마저 세상을 떠난 상황에서 폐지를 주우며 생계유지를 이어가던 중 고질적인 관절염으로 이 일마저 할 수 없게 돼 긴급 의료지원으로 수술을 받고 회복에 전념하고 있는 상황이다.


남구 관계자는 “최근 경제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위기에 처한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홀로사는 노인을 비롯해 이혼한 주민 등 1인 가구에 대한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 같다”며 “도움을 받지 못하는 복지 소외계층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남구의 최근 3년간(2014~2016년) 취약계층 긴급지원 사업 현황을 보면 2014년의 경우 13억3,000만원(2,109건)이 지원됐으며,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26억7,500만원(4,890건)과 23억6,544만원(4,485건)이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사용됐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