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행사특위 '조천읍 선흘리 제주동물테마파크 현장을 찾아'

입력 2019년07월16일 18시27분 박초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19일까지 나흘간 제주지역 17개 대규모 개발사업장에 대한 현장 방문....

[여성종합뉴스] 동물테마파크 찬반 주민 측 사업 부지 인근서 각각 플래카드를 내걸고 갈등을 지속된 가운데 환경영향평가 재심의를 통해 찬반 논란을 불식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동물테마파크 반대대책위원회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마을을 파괴하는 대명 제주동물테마파크사업을 즉각 멈추라"며 "해마다 겨울이면 폭설로 고립되는 선흘2리 내에 사자와 호랑이, 불곰 등 열대 기후에 사는 동물을 유치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동물 학대며 또 학교 앞에 맹수 사파리가 들어서면 아이들의 교육권과 안전권도 침해받게 된다"고 주장하고있다.

이들은 "제주동물테마파크는 환경 오염과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로 주민 다수가 반대하고 있는 사업"이라며 "제주도는 주민을 철저히 배제한 채 투자유치라는 명목으로 사기업의 돈벌이를 지원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에 제주도의회 대규모 개발사업장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16일 오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제주동물테마파크 현장을 찾았으며 오는19일까지 나흘간 제주지역 17개 대규모 개발사업장에 대한 현장 방문을 실시할 계획이다. 

지난 2007년 개발 사업을 승인받았지만, 재정난 등의 이유로 공사가 중단됐다가 2016년 사업자를 변경하고 2017년부터 다시 추진되고 이날 행정사무조사에서는 제주동물테마파크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재심의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제주동물테마파크는 '공사를 중단한 지 7년이 지나면 환경영향평가를 새롭게 받아야 한다'는 규정을 피해 6년 11개월 만에 공사를 재개하면서 '꼼수' 논란을 빚기도 했다.
 

강성의 의원은 "2006년 이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가 이뤄질 당시 사업계획서 내 지하수 취수 계획이 포함됐지만, 현재 정책을 보면 지하수 취수를 허가하는 사업은 없다"며 "2006년과 2019년도 제주는 환경이나 정책이 많이 바뀌었다. 신뢰도 차원에서도 환경영향평가 심의를 다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송창권 의원도 "환경영향평가 심의 유효기간을 20일 남겨놓고 공사 재개가 이뤄지면서 꼼수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또 사업 계획이 당초 조랑말 테마파크에서 맹수 위주의 동물테마파크로 변경되는 등 사업 계획 변경이 크다"며 "사업 추진이 더디더라도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추진하는 것이 지역 주민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동물테마파크측은 "사업 변경을 승인받을 때 제주도 환경영향평가 심의위원으로부터 재심의 대상이 아니라는 의견을 들었다"며 "현재 개발 공법 등이 상당히 발전했기 때문에 우려스러운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답해 행정사무조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동물테마파크 찬반 주민 측은 사업 부지 인근서 각각 플래카드를 내걸고 갈등을 지속했다.


특히 이들은 행정사무조사에서 제주도 관광국장이 "선흘2리 마을회의 입장은 찬성이냐, 반대냐"는 이상봉 의원의 질문에 "찬성"이라고 답한 것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