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비 많고 무더운 7월, 호우·산사태·폭염·물놀이 주의당부

입력 2020년06월25일 15시56분 김규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7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각별한 주의

[여성종합뉴스/김규리기자]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7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으로 호우, 산사태, 폭염, 물놀이를 선정하고, 피해 예방을 위해 국민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 빈도 및 과거사례, 뉴스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여 선정했다.
 

행정안전부는 중점관리 사고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께는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사전에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장맛비 등으로 호우가 자주 발생하는 여름철에는 평균 620.4mm 정도의 강수량을 보이는데, 봄철 평균과 비교하면 약 2.5배 많이 내린다.
    
특히, 7월은 6월 하순에 시작된 장마가 이어져 전국 평균 17.1일 동안 356.1mm의 비가 내린다.

이로 인한 호우 피해도 가장 큰 시기로, 최근 10년동안 발생한 피해는 총 47회이며, 1조 705억원의 재산피해와 10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호우 특보가 내려지면 하천 둔치 등 수변 공간에는 가지 말고, 하천변이나 침수 위험지역의 주차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면서 산사태 발생 위험도 높아지는데, 한꺼번에 많은 비가 내리는 것보다 일정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내리는 경우가 더욱 위험하다.

7월은 잦은 호우와 더불어 산사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발생한 산사태 피해면적은 총 2,263.96ha이며, 이 중 46%가 7월에 일어났다.
 

호우나 태풍 특보가 발령되면,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은 산사태취약지역에서는 기상예보에 주의하고, 미리 대피장소와 유사 시 연락 가능한 비상연락처 등을 알아두도록 한다.
   
또한, 산지 인근 주택의 경우에는 큰 비가 오기 전에 집 주변의 잡목과 배수로 등을 미리 정리하도록 한다.

7월은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발생에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올해는 벌써 지난 22일 서울의 낮 기온이 35.4℃를 기록하며 ’58년 이래 6월 최고기온을 갱신했고,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자도 지난해보다 38%증가한 206명이다.
 

해마다 폭염일수는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지난 ‘18년은 가장 더웠던 연도 중의 하나로 폭염과 열대야 발생이 가장 많았고, 7월에도 폭염 15.5일, 열대야 7.8일로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었다.
   
최근 3년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7,941명이며, 7월에는 전체 환자의 63%가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이 28%나 차지하고 있는데, 고령일 경우 온도에 대한 신체 적응력이 낮아 더욱 위험하다.

또한, 40~59세에서의 온열질환자가 38%나 발생하고 있어, 폭염 속 작업장에서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윤종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7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를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행동요령을 미리 숙지하여 대비하시기 바라며, 폭염이나 많은 비가 예상될 때는 부모님께 안부 전화를 드리는 것도 좋다.”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