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물고사리’ 발견

입력 2021년11월09일 09시29분 최용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사진제공-울산시

[여성종합뉴스]울산시는 지난 10월 30일 김상희 야생화 전문가(53세, 울산시 시민생물학자) 제보를 받고 북구 천곡동 논에서 물고사리 5개체(큰 개체 3포기, 어린 개체 2포기)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 이강협 전문위원은 “동해안 지역에서 최초 보고이다.”면서  “울산으로나 국가적으로 중요한 발견이다.”라고 말했다.


이 전문위원은“포자로 번식하는 양치식물인 ‘물고사리’는 벼 생육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농약 살포를 하지 않는 등 친환경 농법을 했다는 증거이다.”면서 “앞으로 개체 수와 생육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 상황에 따라 보존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일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물고사리는 물고사리속 물고사리과 식물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물고사리속에는 4∼ 6종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영어로 워터스프라이트(water sprite)로 ‘물의 요정’이다. 포자를 달고 있는 잎이 뿔처럼 생겼다고 하여 ‘워터 혼펀(water hornfern)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절멸한 것으로 알려지다 1990년대 중반부터 발견되면서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도  적색목록(IUCN Red List 취약(VU)에 올라 있는 취약한 보호식물이다. 


열대, 아열대 지방과 온대지방까지 넓게 분포하는 한해살이 정수 수생식물로 논이나 논둑, 수로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산, 광주, 김제, 서천 등지에서 관찰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농약 살포를 비롯한 논농사 환경 변화에 민감한 식물인 만큼 지속적으로 서식 환경을 관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