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희 “ 군 소재 어린이집 5 년 새 18.5% 감소

입력 2023년09월26일 10시45분 박재복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 저출생 극복 골든타임 ’ 사수해야 ”

[여성종합뉴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 ( 서울 서초갑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 이 26 일 17 개 광 역 자치단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올해 6 월 기준으로 전국 82 개 군 지역 어린이집 수는 전년 (2,021 개 ) 보다 92 개 (-4.6%) 줄어든 1,929 개로 집 계됐다 . 2018 년 (2,368 개 ) 과 비교해 439 개 (-18.5%) 나 감소한 수치다 .

 

군 지역 어린이집은 매해 줄어드는 추세다 . 2019 년 들어 2,280 개로 쪼그라 들었고 , 2020 년 (2,157 개 ) 과 2021 년 (2,099 개 ) 을 거치며 2,100 개 선도 깨졌다 .

 

구체적으로 , 군 지역 5 곳 중 1 곳은 어린이집이 10 개에도 못 미쳤다 . 어린이집 수가 한 자릿수인 지역은 고성 , 임실 , 순창 , 곡성 , 청송 , 청도 , 산청 , 합천 ( 이상 9 개 ), 양양 (8 개 ), 보은 , 장수 , 구례 , 진안 , 무주 , 의령 ( 이상 6 개 ), 영양 (5 개 ) , 군위 (4 개 ), 울릉 (1 개 ) 등 18 곳으로 , 전체 군 지역의 22.0% 에 달했다 .

 

대도시 어린이집 수도 내림곡선을 그리고 있다 . 올해 부산 (1,447 개 ), 대구 (1,083 개 ), 대전 (936 개 ), 광주 (888 개 ), 울산 (614 개 ) 등 5 대 광역시의 어린이집은 총 4,968 개에 그쳤다 . 2018 년 (6,765 개 ) 7,000 개에 육박했던 점을 고려하면 지난 5 년간 증발한 어린이집만 1,797 개 (-26.6%) 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

 

수도권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 올해 서울 내 어린이집 수는 2018 년 (6,008 개 ) 보다 1,534 개 (-25.5%) 줄어든 4,474 개였다 . 같은 기간 경기와 인천의 어린이집도 11,682 개에서 9,008 개로 , 2,141 개에서 1,644 개로 각각 감소했다 .

 

전국적으로 어린이집 수가 줄어드는 것은 해를 거듭할수록 출생율이 떨 어 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에 따르면 우리나라 합계출생율은 2015 년 (1.24 명 ) 을 기점으로 지난해 (0.78 명 ) 까지 줄곧 미 끄러졌다 . 한 나라의 인구 유지에 필요한 최소 합계출생율은 2.1 명이다 .

 

조은희 의원은 “ 세계 최저 수준의 저출생으로 아이들 울음소리가 사라지면서 지역소멸에 대한 위기감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 며 “ 정부와 정치권은 ‘ 저출생 극복 골든타임 ’ 을 사수하겠다는 의지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 환하고 , 저출생에 따른 지역소멸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