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윤미 교수, 여성암 사망률 학력 낮을수록 높다

입력 2015년02월24일 21시40분 정미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2001년과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

[여성종합뉴스/ 정미희기자]  24일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2001년과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시기 등록된 25세에서 64세 여성암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이 기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의 변화는 암종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에서 저학력 여성의 증가세는 뚜렷했다.


유방암의 경우 초등학교 이하 학력의 여성에서 2001년 인구 10만명당 사망률이 8.52명에서 2011년 21.9명으로 큰 폭으로 늘어난 데 비해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자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자궁경부암 역시 고등학교 이상인 경우 줄거나 소폭 상승한 데 그친 데 반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이하인 여성은 1.5배에서 3배까지 늘었다.


이러한 차이를 '상대 불평등 지수'를 활용해 다시 분석한 결과 학력 편차에 따른 사망률은 보다 극명하게 갈렸으며 이런 경향은 최근 들어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수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암사망률에 대한 대학교 졸업 여성의 암사망률 상대비로 계산했으며, 이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2001년 유방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0.58이었으나 2011년 1.34로 급격히 증가했다.


자궁경부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 또한 2.47(2001년)에서 3.77(2011년)로, 과거부터 최근까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지속되고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 차이가 더 심해졌다.


난소암 역시 2001년 0.79에서 2011년 1.50으로 상대 불평등 지수 1을 넘겨 최근 들어 학력에 따른 불평등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같은 암이라도 젊은 여성에서 암 사망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더 높았다.


45세를 기점으로 중년 이전(25세~44세)과 이후(45세~64세)로 구분했을 때 자궁경부암을 예로 들면 2011년 중년 이전 세대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17.64로 이후 세대 2.41보다 단연 높았다.


한국여성들의 학력수준이 이전 세대에 비해 비교적 상향 변화했지만, 그만큼 학력이 낮은 여성에서 불평등 정도가 더 커질 개연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송 교수팀은 이에 따라 학력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위치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방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상대 불평등 지수가 높은 암을 우선으로 보다 적극적인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며 "이들에게 검진과 예방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과 동시에 실제로 참여토록 할 수 있는 방향을 적극 모색하는 것이 불평등 정도를 줄여가는 단초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