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 중위소득 50% 미만'65세 이상 노인 절반 빈곤상태'

입력 2016년03월16일 07시37분 조미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주요 소득보장정책의 효과성 평가 연구' 보고서

[여성종합뉴스] 1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주요 소득보장정책의 효과성 평가 연구' 보고서(강신욱 연구위원 등)를 보면, 2015년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노인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미만의 비율을 뜻한다.

65세 이상 노인의 절반이 빈곤상태에 처해 있다는 말이다.


국민연금은 1988년부터, 기초연금은 기초노령연금(2008년 1월 시행)을 확대 개편해 2014년 7월부터 시행되는 등 역사가 길지 않은 관계로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합한 공적 이전소득이 노인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현저히 낮다.

노인 단독가구는 2009년 현재 총 경상소득 70만8천원 중에서 공적 이전소득이 20만원(28.2%)에 불과, 연구진은 시간이 많이 흘러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하더라도 노인이 가난에서 탈출할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했다.


두 차례에 걸친 제도개편으로 소득대체율이 현저히 낮아지면서 현재의 국민연금 급여 수준과 수급자격 여건을 그대로 두고서는 40~50년 후에도 빈곤완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국민연금의 연금지급률을 뜻하는 소득대체율은 연금 받을 때의 금액이 가입 기간 평균소득과 대비해 어느 정도의 비율인지를 나타낸 지표로, 40년 가입 기준으로 1988년 국민연금 도입 당시 70%였고 기금 고갈 우려 논란에 떠밀려 1998년 1차 연금개편에서 60%로 낮춰진 데 이어 2007년 2차 연금개편에서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40%까지 떨어지게 설계돼 2015년 현재는 46.5%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런 명목 소득대체율 40%마저도 우리 사회의 실제 연 평균소득(2012년 3천850만원)을 기준으로 재평가하면, 31.8%로 떨어진다.

또 현행 연금지급 구조는 낸 보험료와 가입 기간에 비례해 연금 급여액수가 정해지는 방식으로 납부예외자와 보험료 체납자, 미가입자(적용제외자) 등 대규모 연금 사각지대가 상존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미래 노인 상당수가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받더라도 턱없이 적은 연금만 받을 수 있을 뿐이라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연구진은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했을 때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이 노인빈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정한 연구결과를 보면, 노인가구 빈곤율은 2040년께 약 85% 수준까지 하락하지만, 이후에는 다시 높아지기 시작해 장기적으로 90%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층이 얼마나 가난한지를 보여주는 빈곤갭(빈곤가구 소득이 빈곤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낸 수치)도 2050년까지는 45% 수준으로 낮아지지만, 이후에는 더는 나아지지 않고 지속할 것으로 추정됐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