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OECD 35개국 가운데 자살로 인해 기대수명이 단축된 곳

입력 2016년09월15일 15시35분 정미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미국 워싱턴대학교 건강영향 측정평가연구소(IHME)와 보험연구원 등에 따르면

[여성종합뉴스]15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건강영향 측정평가연구소(IHME)와 보험연구원 등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1990년 72세에서 2013년 81세로 13년 사이 8.6년 증가했다.


IHME는 기대수명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요인을 항목별로 나눠 분석했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사실상 자살이 유일했다.


자살은 이 기간에 한국인의 기대수명을 0.2년 단축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자살을 제외한 대부분의 질병·사고 등의 요인은 위험성이 줄어들어 오히려 기대수명을 개선시켰다.


가장 많이 개선된 요인은 심혈관계질환으로, 13년 사이 이 질환과 관련해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3.9년 증가했다.


암과 관련한 기대수명 개선이 1.0년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만성호흡기질환(0.8년)이 뒤를 이었다.


교통사고 사망자가 줄어든 것은 0.7년의 기대수명 개선 효과를 냈고 간질환(+0.6년), 에이즈·결핵(+0.4년), 소화기질환(+0.4년), 자해가 아닌 상해(+0.4년) 등도 기대수명을 끌어올린 요인이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가운데 자살로 인해 기대수명이 단축된 곳은 한국 뿐이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