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KT·SKT 등 기존 와이브로 사업자 제4이통 준비사업자 움직임 주목

입력 2013년09월15일 09시07분 사회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10년만에 와이브로의 상용화 실패

[여성종합뉴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오후 경기도 과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대회의실에서 공개토론회를 열어 이러한 내용의 '와이브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정책안을 보면 미래부가 운영하는 와이브로 전담반은 기존 와이브로 정책의 전환 필요성을 인정하고 와이브로로 한정된 과거 정책에서 탈피해 LTE를 구현하는 기술 방식 중 하나인 시분할방식(TDD)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추진키로 결정했다.

미래부가 이러한 결단을 내린 배경에는 와이브로를 계속 고집하면 세계시장에서 고립될 우려가 있다는 위기의식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정 주파수대역에서 와이브로만을 고집하지 않고 LTE TDD를 허용하겠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02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삼성전자가 주축이 돼 개발한 와이브로는 한때 우리나라 통신기술의 성장동력으로 부상했으나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들의 전략적 선택에서 밀리며 LTE에 주도권을 내줬다.

인텔과 삼성전자 등이 와이브로를 통해 경쟁구도의 변화를 시도했으나 퀄컴, 에릭슨 등 기존 업체들이 주도하는 시장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생태계 구축에 실패했다.

여기에 기존 이동통신단말과의 결합이 어려워 '나홀로' 단말 시장이 형성되고 이용자가 많지 않다보니 장비업체들이 다양한 단말 생산에 나서지 않는 악순환이 더해졌다. 인프라 활용을 촉진할 콘텐츠가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한 것도 실패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로 인해 와이브로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도 상용 서비스 개시 7년차인 현재 가입자가 100만명선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미래부는 이러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와이브로를 서비스하는 KT와 SK텔레콤이 일부 주파수 회수를 요청하면 현재 가입자에 대한 보호 대책이 마련된다는 전제하에 이를 허용키로 했다. 아울러 미할당된 2.5㎓ 대역에서 사업자가 와이브로와 LTE TDD 중 기술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미래부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업체들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주파수 효율성을 따지면 당장 와이브로 서비스를 접는 것이 타당하지만 기존 가입자 보호라는 전제조건이 붙어 있어 손쉽게 와이브로를 포기할 수도 없는 처지다.

기존 와이브로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접는다면 와이브로는 개발된 지 11년만에 자연사하게 되는 셈이다.

제4이동통신 사업을 추진하는 신규 사업자들도 와이브로 보다는 LTE TDD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TE TDD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 국가가 사용하는 주파수분할(FDD) 방식과 달리 주파수 대역이 하나만 있어도 시간대별로 나눠 통신이 가능해 데이터 처리 효율성이 높고 구축비용이 적게 든다. 이러한 장점으로 이미 세계 와이브로 사업자들이 LTE로 전환해 2.3㎓과 2.5㎓대역에서 LTE TDD 시장을 형성 중이다. 특히 중국은 TDD를 차세대 통신 표준으로 정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미래부는 그러나 와이브로를 '포기'하기보다 '개방'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