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인공지능 로봇 기반의 전력설비 점검기술 성과 시연

입력 2017년06월23일 05시47분 이경문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설비진단용 드론
[여성종합뉴스/이경문기자]  한국전력은 22일 나주혁신단지에서 정부·산업계·노동계 등 200여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자율비행 드론 설비 진단기술』과『Big-Data 기반의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을 소개하고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전력선 비접촉식 활선작업 공법』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하였다.


자율비행드론 설비진단기술은 정부에서 주관하는 ‘2016년 시장 창출형 로봇보급사업’에 참여한 사업으로 핵심기술인 로봇 및 광학 기술을 접목하여, 차량진입이 어려운 산악지, 하천횡단개소 또는 지상에서 점검이 곤란한 전력설비 상부를 GPS 경로를 따라 자율비행하면서 점검하는 기술이다.


설비상태 자동분석기법은 세계 최초로 Big Data와 Machine-Learning 기술을 접목한 첨단 기술로 진단장비 일체를 차량에 탑재하여 손쉽게 전력설비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고장점을 찾아냄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최대 10배까지 절감할 수 있ek.

현재  이 기술 에 대해 중동, 동남아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 한전은 자체 활용  뿐만 아니라 공동개발에 참여한 중소기업과 함께 해외수출도  추진중에 있다.

전력설비를 유지보수 할 때 기존엔 작업자가 전기가 흐르는 특고압선을 직접 만지는 직접활선공법을 활용하였으나, 작년 6월부터 한전은 작업자 안전을 최우선 하는 비접촉식 간접활선공법으로의 정책 전환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금년 9월부터 전국 작업현장에 본격 도입할 계획임. 이 기술을 적용하면 감전 등 안전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날 시연회를 주관한 한전 박성철 영업본부장은 “정부 역점정책인 4차 산업혁명 구현에 있어 세계최고의 전력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전이 앞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사람이 먼저인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요구와 책임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