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기업 요청받고 총수 일가 연관검색어 삭제'

입력 2018년06월27일 06시16분 연합뉴스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26일 공개한 '2017년 상반기 검색어 검증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종합뉴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26일 공개한 '2017년 상반기 검색어 검증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상반기 모 대기업 회장의 사생활 풍문과 관련된 연관검색어 다수를 '명예훼손' 사유로 자체 판단해 노출에서 제외했다.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지난해 대기업 총수 일가와 관련한 연관검색어 다수를 제대로 된 절차 없이 임의로 삭제했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검색어 검증위원회는 "절차를 제대로 거치지 않은 과도한 처리"라고 지적, 또 지난해 조현아 전 대한항공[003490] 부사장 측의 요청에 따라 조 전 부사장과 유명인들을 비교한 연관검색어를 제외 처리했다.


네이버는 "검색어 정책에 명시된 '연관검색어 등이 오타, 욕설, 비속어 등을 포함해 현저하게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거나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타당한 제외 사유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위원회는 "네이버가 자체 처리한 검색어 중 대선 혹은 대선 후보의 가족과 관련된 검색어는 제외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다만, 네이버는 탄핵 사태와 관련해 '박근혜 사저 위치 / 삼성동 OO-O', '박영수 특검 집 주소', '이정미 대치동 아파트 주소' 등 검색어를 제외 처리했는데, 위원회는 이에 대해 "언론 등에 해당 인물의 정확한 집 주소가 공개되지 않은 만큼 이는 적절한 처리"라고 평가했다.
 

또 지난해 상반기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노출에서 제외된 검색어는 1천144건, 신고에 의해 제외 처리된 연관검색어는 7천427건, 네이버 자체 판단으로 제외 처리된 연관검색어는 4만8천532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또 자동완성검색어 가운데 신고에 의해 제외 처리된 것은 331건, 네이버 자체 판단으로 제외 처리한 것은 4천404건이었다.
 

위원회는 "검증대상 기간 노출제외 검색어에 조작이나 왜곡을 의심할만한 특별한 사정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자체 판단에 의해 제외된 검색어의 경우 대부분 적절히 처리됐으며 중복되는 검색어를 제외한 실질적인 제외 건수는 지난 기간에 비해 많이 줄어들어 적절한 방향의 변화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KISO는 2009년 인터넷 사업자들이 업계 이슈를 자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출범시킨 단체로, 네이버는 검색어 조작 논란이 벌어진 2012년 이래로 이 단체에 검증을 맡겨오고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