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현 의원,국립공원 대피소 지난해 숙박료 수입 12억2,300만원

입력 2019년04월29일 07시36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매점 수입 6억9,600만원 등 대피소 상업시설 변질

[여성종합뉴스/백수현기자]국립공원공단은 공익상 최소한의 시설만 허용하는 자연보존지구 내 대피소에서 숙박업과 매점영업 행위를 중단하고 본래의 목적인 대피, 구조 기능에 충실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공원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지리산·설악산북한산·덕유산·오대산·소백산 등 6개 국립공원에 20개소 대피소가 운영 중이다.
 

20개 대피소는 최근 3년 간 연평균 11만8,000여 명이 숙박했으며, 점점 숙박객이 늘어나 1998년부터는 사전예약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대피소 숙박료 수입은 12억2,300만원, 매점 영업 수입은 6억9,600만원이다.
 

이에 대해 신의원은 폭우, 폭설 등으로 인한 사고예방과 인명구조용으로 건립한 대피소가 상업용 숙박시설로 변질됐다고 지적하며 2016년부터 계속 문제를 제기해왔다. 대피소에 재워주며 돈을 받고 물건을 파는 것은 소방관이 돈을 받고 불을 꺼주는 것과 같으므로 본래 목적에 맞게 무료화해야 한다는 것이 신창현 의원의 지적이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국립공원공단은 2021년까지 덕유산 향적봉대피소는 숙박과 매점기능을 폐지하여 대피·구조 중심으로 전환키로하고 나머지 10개의 대피소들은 2022년까지 3년 더 숙박·매점 영업을 계속하기로 했다.
 

신창현 의원은 “국립공원공단은 숙박업, 매점 영업보다 국립공원을 보호하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야 한다”며 "모든 대피소의 숙박, 매점 영업을 연말까지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