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해양 쓰레기와의 전쟁. 5년간 3300억 투입

입력 2014년03월25일 13시37분 양찬모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2차 해양쓰레기관리계획'

[여성종합뉴스/양찬모기자] 해양수산부는 올해부터 환경부 및 해양경찰청과 함께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2014~2018)'을 마련해 본격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정부가 27%에 머물고 있는 양식장 폐스티로폼 수거율을 80% 수준까지 높여 댐·저수지의 부유쓰레기가 바다에 흘러들어가기 전에 수거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깨끗한 바다만들기를 추진한다.

2018년까지 펼쳐질 이번 계획은 '해양쓰레기 없는 바다 만들기'라는 비전 아래 8개 중점추진과제를 비롯해 21개 과제로 구성됐다.

5년간 총 3321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해양쓰레기 발생 최소화 ▲국민공감형 수거사업 강화 ▲과학적·능동적 해양쓰레기 정책인프라 구축이라는 세 가지 목표로 추진된다.

정부는 이를 차질 없이 수행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발생원 집중관리', '생활밀착형 수거사업 강화', '해양쓰레기 관리기반 고도화', '대상자 맞춤형 교육·홍보' 등 4대 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해양쓰레기 발생원을 집중 관리하는 사업으로는 5개 부문에 687억원이 투입된다.

양식장 폐스티로폼 회수율을 80%로 크게 올리고 폐스티로폼 감용기도 35대에서 44대로 늘린다.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를 해마다 370척에 보급하고 항·포구 254곳에 해양쓰레기 선상 집하장을 설치해 어업인들이 자발적으로 해양쓰레기를 줄이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생활쓰레기의 하천·하구 유입을 차단하고 댐·저수지·보·하구역에서 쓰레기를 사전 수거한다.

해경은 240곳에서 깨끗한 어촌만들기 사업을 벌인다. 이에 따라 2018년까지 폐스티로폼 쓰레기가 현재(2453톤)의 4분의 1(613톤) 수준으로 줄어들고 해양쓰레기의 67%(11만8000톤)를 차지하는 육상으로부터의 쓰레기도 많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생활현장의 해양쓰레기 관리 강화에는 6개 사업에 2386억원이 투입된다.

전국 항만·어항 및 주요해역 등 196곳에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해안가 쓰레기 수거사업을 시행하는 지자체는 11개로 확대된다.

낚시터 환경개선도 추진한다. 재해쓰레기 처리, 연근해 어장쓰레기 수거,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항만 내 부유쓰레기 수거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사업은 더욱 확대된다.

해양쓰레기 관리기반 강화를 위한 6개 사업에는 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해양쓰레기 조사지침·통계기법을 개발하고 해양쓰레기 통합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등 해양쓰레기 대응센터 운영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해양쓰레기 정책 홍보와 맞춤형 교육 등 4개 사업에는 49억원을 투입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