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병 유행 지속, 개인 위생관리 촉구

입력 2014년07월11일 07시56분 홍희자 전문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보건당국은 "아직 수족구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 예방, 최선의 방법이다"

[여성종합뉴스/ 홍희자 기자] 1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수족구병을 표본 감시한 결과, 지난달 22일부터 28까지 수족구병 의사환자 발생분율이 33.7명으로 나타났다.

수족구병 의사환자 발생분율이란 전체 외래환자 수 1000명당 수족구병 의심환자 수를 말한다.

지난달 15일에서 21일 사이 의사환자 발생분율 '35.5명'과 비교해서는 소폭 줄었지만 5월말 10명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다.

수족구병은 영유아 또는 어린이 보육시설에서 여름과 가을철에 흔히 발생하며, 고열과 함께 입 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대부분의 환자는 제 때 치료를 받으면 발병 7~10일 이후 완치된다.

그러나 영유아를 중심으로 초기 치료시기를 놓치면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거나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뇌명과 폐출혈로 사망한 수도권거주 11개월 남아에게서 수족구병 원인 바이러스로 지목된 엔테로바이러스 71형이 검출됐다.

수족구병은 어른과 아이 모두 손을 자주 씻고, 아이들의 손이 자주 닿는 장남감 등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면 예방할 수 있다.

보건당국은 "아직 수족구병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신속하게 의료기관 진료를 받고, 확산 방지를 위해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와 학원 등에 보내지 말고 발병기간동안 자가 격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