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어기구 의원, 농축산물 무역적자로 수출경쟁력 강화 힘써야

입력 2022년09월14일 09시07분 최화운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무역적자 상대국 순위, 미국-중국-호주 순

민주당 어기구 의원=의원실제공
[여성종합뉴스/최화운 기자]국회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 농림축산물 무역수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무역적자는 333억 4,650만불(한화 45조 8,681억 1,075만원)으로 전년대비 66억 3,190만불(한화 9조 1,221억 7,845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무역적자는 2017년 254억 6,710만불, 2018년 283억 7,640만불,  2019년 272억 7,920만불, 2020년 267억 1,460만불, 2021년 333억 4,650만불로 2018년 이후 소폭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가별 무역적자 금액은 상위 기준 30개 국가 중 미국이 90억 5,300만불(12조 4,569억 2,800만원)로 가장 높은 적자를 기록했으며, 이어 중국 38억 5,540만불(5조 3,050억 3,040만원), 호주 29억 7,360만불(4조 916억 7,360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무역흑자를 기록한 나라는 일본 8억 7,390만불(1조 2,024억 8,640만원), 대만 2억 1,970만불(3,023억 720만원)의 두 나라에 불과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58개국과 18건의 FTA가 체결됐으며, 적자를 기록한 상대국 28개국 중 24개국과 FTA가 체결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FTA의 경우 2012년 발효된 후 개정의정서가 2019년부터 발효 중이고 한중 FTA는 2015년, 한-호주 FTA는 2014년에 발효됐다. 일본과는 올해 2월에 발효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으로 사실상 FTA를 체결했다.

 

어기구 의원은“FTA 체결국가들이 늘어날수록 이들 국가들을 상대로 한 농축산물 무역적자도 가속화될 우려가 있다”면서, “FTA 피해대책 마련과 더불어 국산 농축산물의 수출경쟁력 강화 방안 등 특단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