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형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손상된 인체조직 재생 ‘나노패턴 세포담체’ 개발 성공

입력 2013년12월17일 10시42분 홍성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바이오, 의료-소재분야 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 표지논문 선정

[여성종합뉴스/ 홍성찬기자] 성균관대(총장 김준영)는 최근 김근형(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교수팀이 손상된 인체조직을 재생하는 ‘나노패턴 세포담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의 논문은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바이오, 의료-소재분야 학술지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에 표지논문을 선정됐다.

성균관대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세포담체는 고분자 용액에 전기장을 가해 미소크기의 파이버를 제작하는 공정(전기유체공정)을 통해 제작된 나노파이버를 플라즈마(Plasma)와 양극 산화 알루미늄 기판을 이용한 에칭기법으로 제작됐다.

이 연구를 통해 표면이 개질된 나노파이버는 인체조직을 재생하는 세포담체로 적용돼 인체 결손부위의 조직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세포친화적 환경을 제공한다. 연구진은 뼈와 연골세포의 증식률과 분화율이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번 성과는 기존 조직공항에서 사용되는 세포담체 제작기술을 업그레이드한 바이오 소재 제작기법이다. 향후 다양한 조직재생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