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영 을지병원 교수, 국내 10~20대 10명중 1명 ‘당뇨 전단계’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올 1월 게재....

입력 2018년06월08일 09시42분 민일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6,418명을 대상으로....

[여성종합뉴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소아청소년과 서지영 교수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당화혈색소의 정상분포’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 최근 세계 유명 학술지에 소개됐다.


당화혈색소(HbA1c)란 당뇨병의 조절 및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어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에 가장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당뇨병이 없는 사람의 정상적인 당화혈색소 수치는 5.7%미만이며 5.7%이상일 경우 당뇨 전단계로서 향후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지난2011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6,418명을 대상으로한 이번 연구는 한국 소아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당화혈색소 평균값이 5.37% 조사됐다.
 
나이대로 살펴보면 10~14세(평균 5.45%)가 가장 높았고 15~19세(평균 5.40%) 20~24세(평균 5.31%) 25~29세(평균 5.34%)로 나타났다.

10대는 평균 5.42%였으며, 20대는 평균 5.32%인 셈이다.


성별로는 남자(평균 5.38%)가 여자(평균 5.35%)보다 높았으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 중 10%는 당뇨 전단계 기준인 5.7%이상의 수치를 나타냈다.
 
이 같은 수치는 앞선 미국 3차 국가건강영양조사(NHANES)에서 발표한 비슷한 연령대의 백인(평균 4.90%), 흑인(평균 5.10%) 당화혈색소 수치와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서지영 교수는 “원인은 불분명 하지만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삼는 아시아권 식습관과 당화혈색소와 관련 있는 적혈구 대사가 인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10~14세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것은 사춘기 때 인슐린 저항성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한국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당화혈색소 분포에서 상위 10%는 당뇨병의 위험성이 높은 당화혈색소 5.7% 이상으로 당뇨병 전 단계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서지영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하고,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와 공동 연구한 것으로 SCI급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2018년 1월에 게재됐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