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등 도지정문화재 3점 지정

입력 2014년01월22일 09시25분 사회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여성종합뉴스] 경기도문화재위원회 유형분과는 지난 17일 고양 백자음각 황사경 묘지, 송준길 등 서첩,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등 3점에 대한 문화재 지정가치를 심사하고 경기도 지정문화재로 의결하였으며, 남양주 흥국사 영산전 등 13점을 예비지정 했다고 21일 밝혔다.

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는 고려 중기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 입적하기 한해 전(1209) 저술한 불교 서적으로 선(善) 사상의 집약본으로, 성종17년(1486) 광주 규암봉 판본 등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번에 지정된 선조12년(1579) 신흥사 판본도 희귀본으로 특히 개인 소장유물 발굴에 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번 지정 3점과 더불어 예비지정된 13점에 포함된 남한산성 소재 강희21년명 장경사 동종은 1907년 일제의 산성내 사찰 파괴가 이루어질 무렵 서울 봉은사로 옮겨진 후 6.25를 겪으면서 총탄으로 전해지는 흔적을 동종에 남기고 100여년(2007)만에 장경사로 돌아와 비로소 문화재로 지정되는 아픔이 서려있기도 하다.

현재 경기도에는 912개의 지정문화재가 있고, 이중 국가지정은 285개 나머지 627개는 도 지정문화재로서 경기도는 매년 문화재 보존관리와 더불어 지정문화재 발굴에 힘쓰고 있다.

정은섭 경기도 문화유산과장은 “금번 불교서적과 같이 개인소장 미지정 문화재 발굴에 더욱 역점을 두고 문화재 발굴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