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빚에 허덕, 취약차주 부채 87조' 취약차주 부채,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세.....

입력 2019년03월28일 21시51분 연합뉴스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금융안정 상황'취약차주 부채는 지난해 말 86조8천억원으로 집계....

취약차주 대출규모및 비중/한국은행자료
[여성종합뉴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을 보면 취약차주 부채는 지난해 말 86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4조1천억원 증가한 규모로 취약차주는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차주를 의미한다.

 

취약차주 부채는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세다.


전체 가계대출 중 취약차주 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6.0%를 차지했다.


취약차주 수는 146만8천명(전체 가계대출자의 7.7%)으로 1년 전보다 3만1천명 감소했다.


소액 장기 연체자를 대상으로 채무를 감면해주는 정부 정책 효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대부업체 법정 최고금리가 인하하며 대부업체 이용자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취약차주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


부채는 늘고 차주는 줄면서 취약차주 1인당 대출은 2017년 5천517만원에서 지난해 5천913만원으로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고 저신용인 차주는 37만8천명으로 이들의 대출 규모는 12조2천억원으로 파악됐다.


취약차주 대출 가운데 저축은행, 상호금융, 여신전문회사, 대부업 등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은행 비중은 64.8%에 달했다. 전체 가계대출 평균(42.6%)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아울러 신용대출 비중은 41.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했지만 비취약차주(23.7%)보다 여전히 2배 가까이 높았다.


지난해 전체 가계부채는 증가세가 둔화했으나 여전히 소득, 경제 규모보다 빠르게 불었다.


지난해 말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2.7%로 1년 전(159.8%)보다 상승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83.8%에서 86.1%로 올랐다.


고소득·고신용자가 부채를 많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현재 전체 가계대출 중 고소득(상위 30%) 차주 대출은 64.4%, 고신용(1∼3등급) 차주 대출은 70.8%에 달했다.


차주의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은 217.1%로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빚 부담이 큰 LTI 300% 이상 차주 비중은 21.9%로 5명 중 1명꼴로 파악됐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DSR)은 31.8%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지난해에는 비은행 대출 연체율이 1.55%로 1년 전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


영세 자영업자,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차주의 채무 상환능력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취약차주란 다중 재무자이며 저소득(하위 30%)또는 저 신용(7~10등급)인 차주의미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