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신속·편리한 수출딸기 신선도 유지기술, 보급 나선다

입력 2014년02월11일 13시36분 정대성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 딸기 전용 밀폐용기와 이산화탄소 처리기술 수출현장에 적용 -

[여성종합뉴스/정대성수습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딸기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개발한 이산화탄소 처리기술을 수출딸기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전용 밀폐 용기(챔버)를 개발하고 딸기 수출현장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딸기는 수확 후 쉽게 물러져 오래 유통하기가 어려운데, 특히 수송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수출 딸기의 경우, 수출국 현지에서 유통 중 쉽게 품질이 떨어져 신선도를 늘리는 수확 후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저장유통연구팀에서는 딸기 수출단지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신선도 유지효과를 높이면서 작업 시 노동력이 적게 들며,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밀폐 용기(챔버)를 제작해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CO2) 처리 기술을 확립했다.

이번에 개발한 밀폐 용기(챔버)는 기존 플라스틱 필름(100㎛ PE)을 대체해 사용할 수 있도록 아크릴을 이용해 수출딸기 전용으로 제작했다.

사용방법은 착색이 60∼80% 정도된 딸기를 수확해 1일 이내에 아크릴 밀폐 용기(챔버)에 넣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25∼30%가 되도록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에 저온에서 유통하면 된다.

수출용 딸기에 적합한 용기(챔버)는 아크릴 120×120×170cm 크기로 밀폐가 쉽고 딸기가 쌓여진 팔레트(110×110×160cm 높이)를 지게차로 바로 넣을 수 있으며, 한 사람이 손쉽게 이산화탄소 처리 작업을 할 수 있다.

아크릴 밀폐 용기(챔버)를 이용할 경우, 기존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때보다 노동력은 2~3명에서 1명으로 줄고,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준비 및 가스주입 등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기존 10분 이상에서 약 4분으로 크게 줄어든다.

특히, 밀폐도가 높아 목표로 하는 25~30%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잘 유지되고 이산화탄소 사용량도 기존대비 40% 절감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아크릴 용기(챔버) 아래에는 바퀴가 있어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아크릴 용기(챔버)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처리기술은 수출용 품종인 ‘매향’과 ‘설향’ 딸기의 경도를 높여 유통 중에 무르는 증상이 적게 나타나고 부패도 늦춰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아크릴 밀폐 용기(챔버)를 이용한 딸기 신선도 유지 기술은 경남 산청, 합천군 등의 딸기 수출지역에 적용됐으며, 앞으로 수출관계자를 대상으로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수출딸기 현장 관계자들은 신속하고 노동력이 절감되는 딸기 선도유지 기술이 보급되면 수출 딸기의 신선도 유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촌진흥청 저장유통연구팀 김지강 팀장은 “딸기는 앞으로도 수출요구 및 국내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수확 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보급이 필요하다.”라며, “신속하고 간편한 밀폐 용기(챔버)를 이용한 딸기 선도유지 이산화탄소 처리 기술을 확대 보급해 국내 딸기의 수출확대에 기여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