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10대재벌, 한날한시 '몰아치기'주총

입력 2014년02월24일 09시35분 홍성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89%가 3월 14일 오전 개최해 사실상 주총일 '담합'비난

[여성종합뉴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정기 주주총회일을 공시한 10대 그룹 소속 12월 결산 상장사 35개 중 31개사(88.6%)가 3월 14일 오전에 주총을 연다.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 삼성그룹 계열사 12곳은 이날 오전 9시 동시에 주주총회을 열어 두 곳 이상의 삼성 계열사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주총에 참여하려면 한 곳만 선택해야 한다.

현대차와 LG, GS 등 다른 그룹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현대위아, 현대제철, 현대비앤지스틸 등 7개사가 3월 14일 오전 9시에 주주총회를 하며, 현대하이스코 주총일만 같은 달 21일로 다르게 잡혔다.

LG그룹 역시 3월 14일이 '주총 데이'다.

LG상사,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하우시스, LG화학, 지투알 등 7개사가 이날 오전 정기 주주총회를 연다. LG디스플레이만 같은 달 7일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GS그룹은 3월 14일(GS홈쇼핑, 코스모신소재)과 3월 21일(GS, GS건설, GS글로벌, 코스모화학)에 주총이 몰려 있었다.

SK그룹은 16개 계열사 중 SK텔레콤(3월 21일)만 주총일을 공시했다.

롯데와 현대중공업, 한진, 한화, 두산 등 5개 그룹은 아직 계열사 정기 주총일을 공시하지 않았지만 예년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 거의 한날 주총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재벌 그룹들이 이렇게 '몰아치기' 주총을 관행화하고 있는 것은 결국 소액주주 참여를 제한하려는 것이란 지적이다.

예탁결제원 관계자는 "올해는 전자투표 이용업체가 아직 한 곳도 없다"면서 "좋은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전자투표의 필요성을 기업들이 체감하지 못하고, 의지도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고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전자투표를 활성화해 소액주주권을 보호하자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현행법상 권유사항일뿐 의무가 아닌 탓"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액주주뿐 아니라 펀드매니저 등 기관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여부를 고민해야 하는데 몰아치기 주총은 그럴 여력을 빼앗아 정당한 주권 행사를 원천봉쇄하는 행위"라고 비판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