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477억 들여 구매한 AMI계량기 먹통, 64만대 리콜

입력 2019년10월11일 12시02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시제품은 정상 실제 납품 제품은 불량, 제품검사 강화 필요

[여성종합뉴스/백수현기자]한국전력공사가 477억 가량 들여 구매한 AMI계량기 64만여 대가 전력량계 부동현상, 펌웨어 오류 발생 등으로 리콜이 진행 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AMI계량기가 도입된 지난 2010년 이후 약 64만여 대의 AMI계량기가 리콜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콜비용은 관련 업체가 119억 원 가량을 부담했다.

 

AMI 계량기는 전력량계와 전력선(PLC) 통계, 양방형 통신망 등을 이용해 전력사용량·시간대별 요금정보 등 전기사용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로 검침원이 직접 돌며 확인해야 하는 기존 계량기와 달리, 전기가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치다.

 

그러나 AMI계량기 도입이후 64만 3528대가 5차례에 걸쳐 리콜 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설치비용만 477억 2860만원, 리콜로 인한 업체 부담비용만 119억 340만원에 달한다.

 

리콜 사유로는 펌웨어 입력장치 오류로 인한 펌웨어 변조, 전력량계 펌웨어 오류에 따른 비정상 계량, 정전경험 후 전력량계 부동현상 발생 , 계절변경 시 전력사용 및 최대수요전력 미동작 ,전력량계 펌웨어 버전오류 입력, 역방향 계량기 LCD창 소수점 사라짐 등이다.

 

현재까지 가장 리콜이 많이 행해진 모델은 2016년부터 도입된 Advanced E-Type으로 전체 53.1%인 34만 2078대가 리콜 되었고 비용만 102억 275만원으로 전체 리콜비용의 85.71% 차지했다.

 

이어 14년에 도입된 G-Type이 리콜 24만1450대, 리콜비용 4억 2625만원, 10년에 도입된 E-Type이 리콜 6만대, 리콜비용 2억 7440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AMI계량기는 2010년 도입이후 약 700만호에 설치되었고 앞으로도 AMI계량기 보급은 지속적으로 진행될 예정인데 이렇게 리콜 대수가 많은 것은 AMI계량기 생산업체가 증가함에 따라 수익을 보전하기 위해 품질이 떨어지는 계량기를 납품했기 때문이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