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고혈압 예방・관리를 위한 건강 생활수칙 권고

입력 2014년05월16일 23시02분 사회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120/80 정상혈압 관리로 혈관건강 지키세요!

[여성종합뉴스] 질병관리본부는 5월 17일「세계 고혈압의 날」을 맞아 고혈압 예방·관리를 위한 건강한 생활수칙 실천을 국민들에게 권고했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만30세 이상)의 10명중 3명에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고혈압 유병자는 ’ 07년 이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혈압 관리실태를 살펴보면 ’ 05년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아직까지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혈압 진료비는 주요 만성질환 중 단일상병기준으로 가장 높은 2조 2,811억원(510만명)으로 나타났다.
 
고혈압은 합병증이 생기기 전까지는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 심근경색증과 뇌졸중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동반할 수 있어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과 질환에 대해 올바르게 아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혈압은 대부분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1차성(또는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특별한 원인 질환 때문에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는 2차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1차성(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의 95%로 환경적인 요인인 짜게먹는 습관,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흡연, 과다한 음주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2차성 고혈압은 전체 고혈압 환자의 5%로 신장질환(만성신부전, 신혈관성 고혈압 등)이 가장 많고 내분비질환 혈관질환, 임신, 신경질환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은 식사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같은 생활 습관을 생활화함으로써 모든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그간 질병관리본부는 전문 8개 학회와 함께 2008년 ‘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을 제정하고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보급해 왔다.

 
‘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은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생활습관 개선, 조기 진단, 지속적 치료, 응급증상 숙지 등 국민이 올바르게 알고 있어야 할 필수 항목들을 포함한다.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1.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질병관리본부는 금년 고혈압 예방관리를 위한 ‘ 건강혈관 숫자알기, 레드써클 캠페인’ 이라는 주제를 통해 국민 스스로가 본인의 혈압 수치를 올바르게 알고 예방·관리될 수 있도록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연중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