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2020년 버스정보시스템 확대사업’준공

입력 2020년08월18일 11시31분 최용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여성종합뉴스]울산시가 버스 도착 예정시간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2020년 버스정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s) 확대 및 고도화 사업’을 완료하고 18일부터 한층 개선된 버스정보 서비스 제공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그 동안 교통정보 서비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울주군 두동면 등에서도 정확한 버스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울산시는 정확한 시내버스 운행정보 제공을 위해, 5억 2,000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지난 3월 26일부터 8월 6일까지 이 사업을 추진했다. 

주요 사업 내용을 보면, 관내 버스정류소 46개소(중구 4, 남구 11, 동구 8, 북구 8, 울주군 15)에 버스도착 정보를 알려주는 정류소 버스정보단말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를 추가 설치했다.

이 중 버스 이용객이 많은 5개소(공업탑, 태화시장 등)에는 한 눈에 정보이용이 가능한 대형 화면의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형 단말기를 설치해 고령자 등이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특히 2030년 세계 최고 수소도시 구현을 위해 도입한 707번 수소버스(울산대공원~태화강국가정원)의 정차 지점인 ‘울산대공원정문 정류소’에도 최신형 버스정보단말기를 구축해 울산대공원을 찾는 이용객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또한 지난 2011년부터 2014년 설치된 노후 버스정보단말기 19대도 낮 시간 햇빛 노출 등의 상황에도 시인성이 탁월한 최신형 장비(LED)로 교체 설치했다.

이번에 신규 설치된 버스정보단말기는 화면을 24인치에서 32인치로 대형화하는 등 기존 단말기의 디자인과 성능을 대폭 개선했으며, 실시간 버스 운행정보는 물론 날씨, 뉴스, 미세먼지 정보, 시정홍보 등의 부가정보가 제공과 함께 장애인을 위한 음성정보도 지원된다. 

특히 엘이디(LED)형 단말기의 경우, 화면 하단부에 이용하는 정류소명을 표출하고 실시간 버스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해 승객들의 버스 이용 편의를 높였다.

버스정보단말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는 지난 2005년 최초 구축이후 매년 확대 사업을 추진 중이며, 현재 3,109개소의 시내버스 정류소 중 43.3%인 1,348개소에 설치, 운영 중이다. 

김춘수 교통건설국장은 “내년에도 교통소외지역이 없도록 버스정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며 “시민들에게 고품질의 버스 운행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지난해의 경우 총 15억 원을 투입해 울주군 등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버스정보단말기 신설 96대, 노후교체 51대, 이설 8대 등을 추진한 바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