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폐수를 하천에 몰래 버린 35개 업체 적발

입력 2014년07월04일 16시34분 사회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엄마들 모임 "마셔도 죽지 않는 물이 아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원하는 것"

[여성종합뉴스] 4일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지난 4월부터 3개월간 성동ㆍ강동구 소재 염색공장과 종로ㆍ금천ㆍ중구 일대 귀금속 제조업체 등 65곳을 단속한 결과 절반이 넘는 35곳에서 폐수를 무단 방류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위반 내용별로는 △최종 방류구를 거치지 않고 집수조에서 무단배출 2곳 △정화시설에 폐수를 유입시키지 않고 직접 무단 배출할 수 있는 배관 설치 2곳 △폐수 방지시설에 수돗물 희석배관 설치 1곳 △폐수 정화약품 미투입 및 방지시설 비정상 가동 7곳 △무허가(미신고) 폐수배출시설 설치 12곳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폐수 배출 11곳 등이다.

총 24개 업체는 형사입건됐고, 이 중 심야를 틈타 유해 염색폐수 653t을 은밀하게 버린 1곳에 대해선 구속영장도 신청됐다.

나머지 11개 업체는 개선명령 등 행정처분을 받았다.

폐수에서는 납, 비소, 니켈 등도 다량 검출됐다. 모두 근육경련, 신장독성, 신부전, 중추신경계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물질이다. 특히 염색업체가 방류한 폐수에는 여름철 녹ㆍ적조 현상을 일으키는 총질소, 총인과 같은 부영양화 물질이 많이 포함됐고, 수질오염 판단 기준인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수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충치 예방 목적으로 수돗물에 불소를 넣는 소위 `수불사업`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3일 경기 광주지역 일대 자녀를 둔 어머니 200여 명으로 구성된 `경기 광주 수돗물 불소화 중단 촉구 엄마 모임`은 광주시청에서 서명운동 선포식을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앞으로 수돗물 불소화 중단을 요구하는 거리 홍보와 서명운동을 진행하는 등 불소 투입 반대를 위한 집단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경기 광주시의 경우 1998년 3500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2400여 명이 찬성한 것을 근거로 현재까지 3개의 정수장에서 수돗물에 불소를 투입하고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