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길 국회의원,강제북송 검역관들 '어선에 페인트 덧칠흔적· 전자기기 없었다' 추가 증언

입력 2022년09월13일 16시48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검역관 전원, 어선 내 페인트 덧칠·전자기기 있었다던 文정부 발표와 반대 진술

[여성종합뉴스/백수현기자] 국민의힘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 국회 농해수위)은 당시 파견됐던 5명의 검역관 중 현재 재직하고 있는 3명의 검역관들로부터 대면-서면 질의를 통해 당시 북한어선 상황에 대한 구체적 정황을 추가로 파악했다고  전했다. 

 
확보된 답변에 따르면 당시 어선을 검역했던 검역관들은 문재인 정부가 북한어선에 있었다고 발표했던 ▲‘페인트 덧칠흔적’을 보지 못했고 ▲스마트폰과 노트북도 현장검역 당시 보지 못했으며 ▲검역관들은 북한어선이 살해현장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를 사전에 공유받지 못한 채 어선에 소독 약품을 뿌렸다는 등의 주요 사안들을 파악, 해당 검역관들은 2019.11.02. 탈북어민이 우리 군에 발견된 당일, 13시 45분부터 22시까지 검역을 진행하면서 북한어선 현장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답변은 강제북송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신빙성이 있다고 평가된다. 
 
또한 당시 검역관들은 파견 당시 북한어선이 살인사건 증거현장일 수 있다는 사실을 어떠한 관계부처로부터도 듣지 못한 상태로 어선 내 소독 약품(버콘s)을 분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강제북송 이후 북한어선 내에서 중국산 '레노보(Lenovo)' 노트북, 북한산 스마트폰(모델명 평양 2418), 미국산 '가민(Garmin)' GPS 장치, 8기가 용량의 SD 카드 등을 발견했다고 발표하였는데, 검역관들은 당시 어선에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의 전자기기는 없었다고 답변했다.
 
이는 검역관들이 어선 나포 당일 북한어선에 도착하기 이전에 누군가에 의해서 스마트폰과 노트북이 먼저 반출되었거나 혹은 처음부터 없었을 가능성을 의미함. 만약 검역·소독 조치 이전에 전자기기들이 먼저 반출되었다면 당시 문재인 정부가 철저한 방역을 위해 신속하게 어선을 소독했다는 주장과 상반된 대응일 수 있음.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외부 유입 물품들을 모두 소독한 이후 반출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다른 물품들은 모두 어선 안에 둔 채로 전자기기들만 먼저 소독하지 않고 반출시키는 일은 이례적이다. 

 

당시 나포된 북한어민 상태와 관련해서는 어민 2명은 현장에서 안대가 씌워져 있었으며, 포박이 되었는지 여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안병길 의원은 “이번에 새롭게 드러난 사실들은 당시 문재인 정부가 탈북어민들을 얼마나 무리하게 북송을 강행하려 했는지 명확하게 확인시켜 주고 있다. 이번에 확보된 검역관들의 증언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검찰수사에서도 반영되어 신속하게 진상이 규명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