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일자리 플러스센터’(job.seoul.go.kr·전화 1588-9142) 개소 ‘실업대란’ 대비

입력 2009년06월07일 19시20분 중소기업보도자료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서비스업 등 1000억원 신규 지원해 자금경색 해소

[여성종합뉴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일시적 자금 압박으로 파산, 경영위기를 맞지 않도록 중소기업 육성자금을 지난해 대비 24% 증액된 1조4000억원을 투입했으며 이번 금융위기로 상당한 타격을 입은 도.소매업, 운수업, 정보서비스업 등에 1000억원을 신규 지원해 자금경색 해소에 치중하고 있다. 무담보대출을 확대하고 신용한도도 늘렸다.

서울시는 상반기 안에 발주사업 긴급 입찰, 건설기술심의 10일.계약심사 5일·계약체결기간 5일 이내 등 발주 및 계약기간 단축에 적극 나섰다. 특히 시가 발주하는 사업에 있어 선금 의무지급 비율을 종전보다 10∼20% 인상했으며 하도급 대금은 원청업체를 거치지 않고 시가 직접 하도급 업체에 지급하도록 했다.

계약시 공사 대금도 신청일로부터 2일 이내에 지급하도록 하고 중소기업 제품의 공공구매 수준도 90%까지 확대했다. 무담보 대출의 경우 업체당 3000만원까지, 신용보증한도는 130%까지 각각 확대했으며 도·소매업 등 금융위기 ‘타격업종’ 및 저소득층에 4900억원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 실질적인 창업 지원을 위해 창업자금 한도를 8000만원까지 늘리는 한편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한 융자와 보증한도도 150%까지 확대했다.

특히 취업난으로 일자리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5층에 ‘서울 일자리 플러스센터’(job.seoul.go.kr·전화 1588-9142)를 개소해 ‘실업대란’을 대비하고 있다.

일자리 플러스센터는 지난 1월에 문을 열어 24명의 전문 상담사를 배치, 일자리를 찾아주고 있다. 상담사들은 청·장년, 여성, 고령자 등 취업 계층별 전문상담과 수준별 직업훈련·취업알선, 취업 후 사후관리 등 1대 1 맞춤형 토털서비스다. 구인을 원하는 중소기업에는 별도 홈페이지를 만들어 회사를 홍보해 주기도 한다. 또 취업자에게는 취업하고자 하는 회사의 정보을 비롯해 이력서 작성·면접요령 등도 가르쳐 준다. 창업 관련 상권·아이템 분석, 자금 지원, 경영 컨설팅 등 입체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 중의 하나다.

지난해 9월부터 불어닥친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국내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가정경제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이 같은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삼아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박대우 일자리정책 담당관은 “희망은 경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을 사랑하고 서민들 역시 희망을 사랑한다”며 “서울시가 경제위기에 맞서 서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겠다”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