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경기도교육청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1차 선정’ 대비 총력

입력 2024년02월26일 14시13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이 시장“고양시를 넘어 경기북부 교육발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

[여성종합뉴스]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교육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공모에 선정되기 위해 경기도교육청의 지원을 받으며 온 힘을 쏟고 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은 지자체,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 교육혁신,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모 사업이다.

 

시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위해 지난해 12월 말 지역협력체 구성을 시작으로 설명회(메디치넷 선언: 서로 다른 분야가 연결되고 합쳐져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의미), 자문회의, 고양교육브랜딩 선포식, 고양시민 설문조사, 지역 사업체 참여 의향서 조사 등을 실시하며 모든 행정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 및 발표는 2월 말 경으로 예정되어 있다. 

 

지난 6일 이동환 고양시장은 경기도교육청 북부 청사에서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중부대학교 이정열 총장, 고양산업진흥원 한동균 원장, 이비에스(EBS) 김유열 사장과 고양시 교육발전특구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을 했다. 

 

또한 지난 19일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성남시 분당구)에서 열린 교육부 공모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위한 대면심사에는 고양시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으로 참석했다.

 

시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을 위해 ►늘봄, 유보통합의 확보를 통한 교육자치 실현 ►산업 맞춤형 교육과정 재설계를 통한 인재양성 ►지역 전략산업 활성화를 통한 선순환 경제 실현 ►일반고 교육과정을 특성화 및 다양화한 자율형 공립고 2.0실현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는 인구 108만의 경기북부 유일의 특례시이지만 현실은 각종 중첩 규제에 묶여 교육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지역발전과 경제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양시는 충분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진 도시인만큼 교육발전특구로 지정이 되면 경기도 교육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고양시를 넘어 경기북부까지 고양시의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확산시키겠다.”라고 강조했다.

고양특례시 제공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