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세계혁명예술 국제포럼 혁명의 기념과 기억’ 동학농민혁명 전주 입성 130주년 기념식

입력 2024년06월01일 08시23분 이경문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130년 전, 그날, 전주성 바로 여기' 주제로

[여성종합뉴스/이경문 기자]130년 전 동학농민군의 함성이 동학농민혁명 정신이 깃든 기념공간인 녹두관과 전라감영에 다시 울려 퍼졌다.


전주시와 (사)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는 31일 녹두관과 전라감영에서 동학농민혁명 전주 입성 13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130년 전, 그날, 전주성 바로 여기’를 주제로 열린 이날 기념식에는 동학 관련 전국 기관·단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전주화약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녹두관에서 이름 없는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유골을 참배했다.


참배행사는 ►원광대 원도연 교수의 ‘무명농민군 안장의 경과와 의미’ 설명 ►동학농민군 무명 지도자에 대한 헌화·참배 ►왕기석 명창의 추모 헌정 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130년 전 동학농민군의 승전보가 울려 퍼졌던 전라감영으로 자리를 옮겨 ►동학농민혁명 전주 입성 130주년 기념식 ►이광재 작가의 ‘전주입성 의미와 집강소 통치의 가치’ 주제 특강 ►전주시립국악단의 혁명과 예술을 융합한 ‘동학농민혁명의 노래’ 주제 기념공연 등 기념식과 기념공연이 펼쳐졌다.


이와 함께 이번 130주년 기념식은 동학농민혁명의 정신과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전주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시민들과 함께 향유하기 위한 ‘2024 전주문화유산야행’과 함께 진행돼 의미를 더했다.


시는 ‘2024 세계혁명예술 국제포럼: 혁명의 기념과 기억’ 사업의 일환으로 이번 이번 기념식에 이어 오는 가을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주간 행사로 세계의 혁명예술문화와 융합 전주의 문화도시 정체성 확립과 시민 등과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제4회 세계혁명예술 국제포럼’과 ‘130주년 기념 미술전시’ 등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인태 전주시 부시장은 이날 “자주와 평등에 기초한 아래로부터의 혁명인 동학농민혁명은 민주주의의 시작과 뿌리이며, 인간의 존엄과 민주화의 시작을 우리 민초들이 앞장서서 실현하려 했다는 것만으로도 세계사적 의미가 있다”면서 “전주시는 앞으로도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지평을 넓히고 동학의 세계화를 통해 전주의 역사적 의미와 위상을 널리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