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2023년 귀농 가구 수 1만307가구' 전년 대비 17.0% ↓

입력 2024년06월25일 15시05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귀촌 가구는 78.5%가 1인 가구

[여성종합뉴스] 통계청은 25일 '2023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내용을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귀농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6.8%로 귀농 가구 넷 중 셋은 ‘나 홀로 귀농’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생활 은퇴 후 농촌으로 혼자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2023년 기준 귀농어·귀촌인통계. 통계청 제공

 

귀농 가구의 평균 가구원 수도 1.33명에 불과했고 귀농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6.3세로 50대가 31.8%, 60대가 37.4%를 각각 차지했다.

 

귀농 가구주의 65.5%는 남성이었다.

귀어인의 경우 귀어가구는 80.3%가 1인 가구로, 평균 가구원 수는 1.26명이었다.

 

귀어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52.9세로, 연령대로는 50대가 33.4%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8.8%로 뒤를 이었다.

 

반면 귀촌 가구는 78.5%가 1인 가구였고 평균 가구원 수도 1.31명이었지만, 귀촌 가구주는 평균연령이 45.4세로 비교적 젊었다. 연령대도 30대가 22.4%로 가장 많았고 20대 이하(20.9%) 50대(17.8%) 순이었다.

 

지난해 귀농 인구는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감소, 귀농 가구 수는 1만307가구로 전년 대비 17.0% 줄었다.

 

귀농인은 1만540명으로 16.7%, 가구원은 1만3680명으로 19.1% 각각 감소했다. 귀어와 귀촌 인구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농식품부는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했다.

 

국내 인구이동자 수는 2022년 전년 대비 14.7%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다시 0.4% 줄었다.

 

농식품부는 도시지역 실업자 수가 줄어든 점도 귀농어·귀촌 인구가 줄어든 요인으로 꼽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막처럼 ‘주소이전’ 없이 농촌을 체험할 수 있는 길이 많아진 점도 귀농·귀촌 인구가 줄어든 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