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땅, 지적재조사 사업으로 대변신한다

입력 2015년03월04일 11시26분 홍성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토지 활용도‧가치 증가시키는 지적재조사…올해 5,344필지 대상

[여성종합뉴스/홍성찬기자] 제천시 송학면에 살고 있는 P씨는 요즘 흥이 난다. P씨는 맹지의 소유자로, 도로가 없는 토지인 맹지는 건축법상 건물을 세울 수 없는 등 이용의 제약이 있어 그동안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최근 토지까지 연결되는 도로가 생겼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을까?
 

 바로 지적재조사 사업 덕분이다. 지적재조사 사업지구에 포함되면서 인접 소유자와의 협의를 통해 도로를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P씨는 요즘 건물을 짓기 위해 준비 중이다.
 

 ‘지적재조사’에서 ‘지적’은 토지, 즉 우리 삶의 터전인 ‘땅’을 의미하고, ‘재조사’란 기존의 잘못된 것을 다시 조사하여 바로잡는다는 의미로, 이 사업을 다른 말로 ‘바른땅 사업’이라고도 한다.
 

 전 국토의 약 15%가 100년 전 일제가 만든 종이지적도 등으로 인해 토지의 경계가 실제와 불일치하는 ‘불부합지’인데, 충북도는 25% 정도가 해당된다.
 

 불부합지를 해소하기 위해 충북도는 올해 도내 전 시·군 5,344필지(8,003천㎡)에 대해 지적재조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충북도는 지난 4일 지적재조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올해 사업예정 20개 지구 중 5개 사업지구에 대해 심의‧의결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국비 총 16억원을 투입하여 11개 시·군 8,701필지(12,534천㎡)에 지적재조사를 완료한 바 있다.
 

 토지가 지적재조사 사업을 거치면 도로가 없는 토지도 도로가 생기고, 삐뚤빼뚤한 토지모양을 반듯하게 변화시켜 토지의 활용도 및 가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소유권 행사 및 상권 확대 등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토지에 걸쳐있는 건축물 등으로 인한 경계분쟁을 해소하여 소송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충북도는 지적재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세계측지계 좌표변환도 적극 추진 중이다.
 

 ‘좌표계’란 평면이나 공간 내에서의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로 지금까지 사용해온 지역측지계는,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세계측지계와 약 365m 차이가 난다.
 

 세계측지계를 사용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위치 값이 측정되어 정보의 공동 활용이 가능하여 요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드론(무인비행체)이나 무인자동차 등을 운영할 수 있다.
 

 지금까지 10만필지를 변환했고 올해는 17만필지를 추진하는 등 2020년까지 불부합지를 제외한 충북도의 모든 필지를 국제표준의 세계측지계로 변환할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토지이용 가치를 높이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지적재조사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충북 국토정보의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