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소화제, 진통제 등 자주 쓰는 일반의약품 가격 약국과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

입력 2015년03월18일 08시04분 최효순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보건복지부의 '2014년 다소비 일반의약품 가격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성종합뉴스/최효순기자]   18일 보건복지부의 '2014년 다소비 일반의약품 가격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가운데 자주 쓰이는 50개 품목의 약국별 최고가, 최저가가 적게는 1.4배, 크게는 3.5배 차이가 났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를 위해 감기약 4종, 소화제 4종, 영양제 7종, 파스류 4종, 해열진통제 4종, 외용연고 3종 등 약의 효능별로 많이 소비되는 품목을 선정해 지난해 하반기 전국 시·군·구 2천500여 개 약국을 대상으로 판매가를 비교했다.


그 결과 관절염 패치인 '트라스트패취'의 경우 서울, 부산, 대구, 충북의 일부 약국에서는 1팩(3매)에 2천원에 판매되고 전북 진안의 한 약국에서는 7천원, 인천 남구에서는 최고 6천500원에 팔리고 있었다. 최저가와 최고가의 차이가 3.5배에 달하는 것이다.


감기약인 '하벤허브캡슐'도 10캡슐이 경기 하남에서는 최저 1천200원, 충남 홍성에서는 최고 4천원에 팔려 3.3배 차이가 났다.


해열진통제 '펜잘큐정'(최고 5천원, 최저 1천800원), 파스제품 '제놀쿨카타플라스마'(최고 3천500원, 최저 1천300원), 소화제 '베아제정'(최고 4천500원, 최저 2천원) 등 50개 품목 중 20개에서 최고가가 최저가의 2배 이상이었다.


해열진통제인 펜잘큐정은 서울 시내 평균 가격이 2천226원으로, 용산구의 일부 약국에서는 5천원에 판매돼 동작구, 양천구, 종로구 등의 최저가 1천800원보다 2.8배 비쌌다.


전반적으로는 경북 울릉이나 경남 의령 등 비교적 약국이 많지 않은 도서·산간 의료취약지역의 약국에서 전국 최고가에 약이 팔리는 경우가 많았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회정책팀장은 "정부가 가격조사 결과를 보다 적극적으로 공개해 경쟁을 통한 가격 하락을 유도해야한다"며 "아울러 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의료취약지역 주민들이 더 비싼 돈을 주고 약을 사야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