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조세심판원,당사자간 합리적인 약정에 따른 광고비 부담액기준으로한 부가가치세 허용

입력 2010년07월22일 12시24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사실상 하나의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 사이라도 합리적인 사전 약정에 따른 광고비 부담비율이라면 부가가치세계산시인정되는것이다

[여성종합뉴스]국무총리 조세심판원(원장 백운찬)은 지난 7월 9일 조세심판원장(의장), 내부 상임심판관(6명), 외부 비상임심판관(24명)으로 구성되는 조세심판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당사자간 합리적인 약정에 따른 광고비 부담액을 기준으로 한 부가가치세 계산은 허용된다는 결정을 했다.

청구법인은 음료 원액을 만들고, A회사는 동 음료 원액으로 완제품을 만들어 판매하여 왔다. 청구법인과 A회사는 사실상 하나의 음료제조 사업을 운영하며 완제품 등에 대한 광고도 함께     했고, 서로의 광고비 부담비율은 미리 정해 두었다.

청구법인은 부담비율에 따라 1999~2001년 사이 발생한 광고비 734억 중 570억원을 지불하였고, 관련 매입세액 57억원을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여 부가가치세 신고도 마쳤다.

과세관청은 광고비 부담비율에 대한 두 회사간 내부약정의 타당성을 의심하였다. 사실상 하나의 음료제조 사업을 운영하는 두 회사의 관계 때문이었다. 과세관청은 관련 법령*을 참조하여 두 회사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광고비 부담액을 다시 계산하였고, 이에 따르면 청구법인의 부담액은 122억원에 불과했다.(「법인세법 시행령」 제48조 또는 제50조 등 참조)

과세관청은 청구법인이 ‘업무와 관련 없이’ 448억원(= 570억원 - 122억원)의 광고비를 더 지불한 것으로 보아, 이 금액만큼 매입세액 공제를 허용하지 않고 부가가치세 98억원을 과세했다.

청구법인은 A회사와 미리 약정한 부담 비율은 음료 원액 판매가격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정한 것인데도, 과세관청이 그 타당성을 의심하며 적용 가능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법인세법 시행령」 규정(매출액 기준)을 근거로 광고비 부담액을 다시 계산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하였고, 조세심판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조세심판관 합동회의는 청구법인이 광고비를 조금 더 부담하는  대신에 A회사가 음료 원액을 조금 더 비싸게 사기로 한 점 등에 비추어 미리 정한 광고비 부담 비율이 상거래상의 경제적 합리성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점과 과세근거로 제시된 법령이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있는 점 등을 종합하여 결정한 것이다.

 이번 조세심판원의 결정은, 두 회사가 사실상 하나의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에도 합리적인 근거에 따라 공동 광고비를 부담한 것이라면, 무리한 법령 적용보다는 당사자간의 합리적인 약속을 우선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납세자 권리보호에 적극 기여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