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 주민 단체들,중국어선 불법조업 피해 대책 마련 요구

입력 2015년08월12일 23시21분 민일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집 앞에 122mm 방사포가 있다고 생각해 보라"며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적인 약속이행을 정부에 호소

[여성종합뉴스] 12일 서해5도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책위원회, 대청 선주협회,연평 소연평 어촌계, 인천해양발전협의회 준비위원회 등 서해 5도 주민 단체들이  중국어선 불법조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어업 피해에 대한 실태조사와 어민들에게 실질적인 조업 손실 지원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10시30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자부는 대통령과 주민을 기만하지 말고, 「서해5도 에너지자립섬」 추진 요구와 함께 해수담수화 등 식수공급을 위한 「지속가능한 수도 체계」 구축, 도서지역 접근성과 안정성 제고를 위한「연안여객 준공영제」 시행을 정부에 촉구했다.


서해 5도 주민들은 "분노를 넘어 비통함을 느끼며 이 자리에 섰다. 언론에서는 북한이 연평도 앞 갈도에서 방사포 진지를 구축한다고 하는데 정작 이 곳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며 "연평도 포격은 현실이다. 우리는 아직도 과거의 기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집 앞에 122mm 방사포가 있다고 생각해 보라"며 하소연 하면서 해마다 중국어선이 NLL을 넘어 우리 어장을 싹쓸이 하고 있다.

피해 구제에 대해 해상시위도 했다"며 최근 통과된 서해5도 특별법에서 정부는 피해조사를 할 수도 없고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의 이유로 지원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섬을 오가는 배도 육지의 시내버스와 지하철처럼 대중교통화를 요구하며 세월호 사건 직후 나온 연안여객선 공영제는 용두사미가 됐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주민들은 특히 마음대로 물고기를 잡지 못하고, 정해진 구역에서 연간 6개월만 조업을 할 수 있다"며 "이마저도 기상악화와 군사훈련이 있을 때는 조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 연평도 포격 때 주민들은 집단 이주를 요구했지만 정부는 이주 대신 재정착을 하라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며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기본적인 약속이행을 정부에 호소했다.


주민들은 정부의 약속 이행이 안 될 경우 2차 해상시위 등 생존을 위한 투쟁에 나서겠다며 기만과 위선의 정치인과 정권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