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톡 사용 많아도 망부하 안돼…통신사 주장은 억측”

입력 2012년07월02일 06시11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김희정 의원, 통신사 트래픽 분석 …2천만명 417TB vs 2백만명 411TB

 [여성종합뉴스/ 백수현]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서비스 카카오톡 ‘보이스톡’ 과다사용으로 망 과부하가 우려된다는 이동통신사의 주장과는 달리 망 과부하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2000여만명의 m-VoIP 1일 통화시 망사용량은 최대 417TB으로, 2백만명이 사용한 데이터량(411TB)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지난 1일 국회 새누리당 김희정 의원(부산 연제구)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6월 1일부터 13일까지 통신사 이동통신망 일일트래픽 추이’ 자료와 ‘카카오톡 일일 통화연결수’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보이스톡 서비스와 실제 트래픽 발생량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KT사를 보면, 보이스톡 출시 전 267~277TB이었던 트래픽은 출시 이후 사용자가 가장 많았던 날도 최고 295TB밖에 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보이스톡의 사용자가 2000여만명이었던 6월6일 트래픽(295TB) 보다 사용자가 200여만명에 불과했던 6월13일 트래픽(298TB)이 높았다.

 SKT사 역시, 보이스톡 출시 이전은 398~405TB에 불과했지만, 사용자가 2000여만명인 6월6일에는 417TB로, 최대 3.6% 밖에 증가하지 않아 보이스톡 출시 이후 사용자의 증감에 따른 트래픽 사용량의 변화도 크게 일어나지 않았고 200만명 내외가 사용한 6월9~13일까지 트래픽(379~411TB)과 차이가 없었다

※ 출처 : 카카오톡

김 의원은 이에 대해 “보이스톡 서비스 실시 이전이나 이후, 보이스톡 사용자수가 많으나 적으나 통신사 트래픽사용량은 대동소이하다”면서 “m-VoIP사용으로 망부하가 우려된다는 통신사의 주장은 억측이다”라고 밝혔다.

 미국의 네트워크 통신회사인 시스코(Cisco)는 m-VoIP가 전체 모바일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5년에도 0.4%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에서도 m-VoIP가 과도한 트래픽을 유발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는 어디에도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의원은 트래픽 발생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음성통신, 영상통신, 문자, 엔터테인먼트, 웹검색, 게임 등 유형별 트래픽비중 분석자료를 요청했지만, 이통사는 ‘정확하게 구분할수 없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Cisco가 콘텐츠 유형별 트래픽비중을 집계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통신사의 답변은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어서 향후 통신사의 대처가주목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