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서울중앙지검에 테렌스 브라이스 존슨과 요하네스 타머 사장 형사고발

입력 2016년01월27일 20시35분 정지호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이번 고발은 인증 등 모든 행위가 허위, 거짓으로 이뤄진 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조작원인 자체에 대한 고발”

[여성종합뉴스] 27일 환경부는 정부법무공단 자문의견 검토결과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차량인증을 받지 않고 배출허용기준에 맞지 않게 자동차를 제작한 것으로 판단,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검에 등기임원인 테렌스 브라이스 존슨과 요하네스 타머 사장을 형사고발했다고 밝혔다.


테렌스 브라이스 존슨은 독일 본사 임원으로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대표이사로  환경부는 “이번 고발은 인증 등 모든 행위가 허위, 거짓으로 이뤄진 것에 대한 책임을 묻는 조작원인 자체에 대한 고발”이라며 “보완계획서를 제출하면 해소될 수 있는 리콜계획 부실에 대한 고발보다 폭스바겐측이 느끼는 압박강도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26일 아우디폭스바겐 차량 배출가스 조작 확인 후 ‘솜방망이 처벌’ 논란을 빚은 지 2개월여만으로  ‘거짓, 허위 조작으로 한국정부를 속인 책임’을 물어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를 정식 형사고발로 대기환경보전법상 가장 강도가 높은 7년 이하 징역, 1억원 이하 벌금까지가 구형될 수 있다.


앞서 지난해 11월 환경부는 아우디폭스바겐 코리아의 티구안 등 2000cc급 15개 차종(국내 총 12만5522대 판매)의 배출가스 조작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하고 인증취소, 141억원 과징금 부과, 결함시정(리콜)계획서를 제출명령 등 조치를 취했다.
 
미국정부가 100조원 규모 소송을 제기하는 데 비해 강도가 너무 약하다는 지적이 일었지만 대기환경보전법상 처벌규정이 인증취소와 과징금 부과(11월 기준 차종당 상한액 10억원)밖에 없다는 이유에서 였다.


지난 19일에는 리콜계획서 부실에 대한 형사고발이 이뤄졌지만 한국정부를 속인 행위에 대한 직접적 책임을 묻는 것은 아니어서 정부차원의 ‘정식 형사 고발’이 이뤄져야 한다는 비판이 그치지 않았다.


이번 고발은 지난 19일 정부법무공단에서 ‘인증취소는 소급해서 그 효력을 소멸시키는 행정처분’이라는 대법원 판례에 따른 자문의견을 전달하면서 촉발됐다.
 
정부법무공단이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는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인증을 받아 환경부가 15차종의 인증을 취소했다”며 “대기환경보전법 제48조에 따른 제작차 인증을 받지 않고, 같은 법 제46조에 따른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에 맞지 않게 자동차를 제작하였다고 볼 여지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고 환경부도 같은 판단을 내렸다는 설명이다.


처벌이 인증취소에 그치지 않고 ‘무단제작’ 책임으로까지 제기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