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뎅기열 아열대 모기 서식 ‘플로스원(PLoS ONE)’ 개제

입력 2013년07월29일 07시50분 환경넷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베트남 흰줄숲모기와 유전자 일치 -“열대성 질환 예방 적극 나서야”

[여성종합뉴스/조옥희시민기자] 지난 25일 미국공공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연구팀은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제주도 7개 지역에서 전염병 매개 모기를 채집한 결과, 서귀포시 보목동에서 잡힌 흰줄숲모기의 유전자 염기서열이 베트남에 서식하는 것과 똑같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와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환경보건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기후변화·세계화가 모기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서 밝혀졌다.

이 논문은  베트남은 환자 수가 2만명이 넘는 뎅기열 창궐 지역으로 베트남 흰줄숲모기가 제주도에 서식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흰줄숲모기의 유전자 염기서열은 일본(나가사키)·미국·프랑스·싱가포르에서 채집됐거나 국내 남부지역에서 자생하는 흰줄숲모기와는 유전자 계통분류상 전혀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연구팀은 베트남의 흰줄숲모기가 공항이나 항구를 통해 제주에 들어와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우리나라 남부지역 기후가 점차 아열대로 변하면서 공항·항구를 통해 국내로 들어온 뎅기열 모기가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서 흰줄숲모기의 지역별 개체 수는 제주공항(800마리)과 제주항(166마리) 근처가 이외 5곳보다 월등히 많았다.
 
웨스트나일열을 옮기는 빨간집모기와 말라리아 매개체인 중국얼룩날개모기 역시 제주공항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 지금까지는 다른 지역에서 감염병 매개 모기가 들어와도 기후가 맞지 않아 겨울을 나지 못하고 죽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조사에서 외래 유입 모기가 상당 기간 생존, 뿌리를 내릴 가능성까지 확인됐다.

이에 따라 조만간 국내에서 모기에 물려 감염된 뎅기열 환자가 발견되고 이후 토착적으로 유행할 가능성까지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모기에서는 바이러스가 나오지 않았지만 감염된 베트남 모기가 국내로 들어와 사람을 물면 한반도에서도 뎅기열이 발생하고 퍼질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하고 뎅기열은 높은 열을 동반하는 급성 질환으로, 주로 열대·아열대 지방에서 모기를 통해 전파된다.

베트남은 올해 들어 환자 수가 2만3000여명에 이르고, 필리핀과 태국에서도 올해 6∼7월 각각 193명, 71명이 뎅기열로 목숨을 잃었다. 우리나라는 최근 유행 지역을 다녀오고 나서 해마다 30여명씩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는 아직 없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