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생태축, 동북아시아로 연결 준비 착착!!

입력 2013년08월19일 19시43분 환경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산림청, 보호지역 연계강화와 관리 국제심포지움 개최

[여성종합뉴스] 한반도 생태축인 백두대간과 동북아 생태보호지역 간 연계 및 관리체계에 대한 논의가 보다 구체화될 전망이다.

지난8월20일,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녹색연합, (사)한국환경생태학회와 공동으로 백두대간 국제심포지움(국립산림과학원)을 개최키로 했다.

작년 산림청은 제주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총회(WCC)를 통해 ‘동북아 생태네트워킹을 위한 보호지역 확대와 연결’을 공동 발의(환경부·한국환경생태학회)한 바 있다. 이에 대한 후속 논의를 위해 국내·외 생태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국제 심포지움을 갖게 된 것이다.

한반도 백두대간과 동북아의 생태축은 원래부터 하나였다. 식생 분포, 과거 아무르호랑이(Panthera tigris altaica, 백두산 호랑이도 아무르 호랑이에 속함)의 서식처를 살펴보면 확실해 진다. 러시아의 시호테알린(Sihote-Alin), 중국의 샤오싱안링(小興安嶺) 산맥이 한반도 백두대간과 연결되어 동북아시아의 생태적 권역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동북아 각국은 우리나라의 백두대간보호지역과 같이 시호테알린 보호지역, 장백산보호지역 등 생태계 분포가 우수한 지역을 보호지역(Protected Area)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생물종들이 멸종하였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동북아 지역을 둘러싼 정치적 긴장 탓에 국가 간 생태네트워크 구축이 어렵다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다. 따라서, 동북아 지역에서 국경을 초월한 보호지역의 확대와 연결은 향후지역 생태계 안정과 종 다양성 확대를 위해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심포지움에 참석하는 독일의 보호지역 전문가 이비쉬(Ibish) 교수, 중국의 쉬지리앙(徐基良) 교수, 미국 Texas A&M 대학 김준현 교수는 각각 유럽, 중국, 북미대륙의 보호지역과 국가 간 협력사례를 발표한다. 참석한 전문가들은 한국의 백두대간의 식생과 문화자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정선의 함백산, 태백산, 문경 봉암사 등을 방문하게 된다. 또한 심포지움 당일에는 북한의 백두대간 사진도 전시할 예정이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