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반도체 생산장비 테스트및 세정업무는 `전자제품 제조업`봐야

입력 2013년08월30일 09시01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사업내용 살핀후 산재 보험료 부과해야”행정심판 결정

 [여성 종합뉴스/백수현기자]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위원장 홍성칠)는 반도체 생산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반도체 생산장비를 테스트하고 세정하는 업무를 하는 업체의 산재보험 사업종류를 ‘기계장치 수리업’으로 보아 ‘각종 기계 또는 동부속품 제조업’(산재보험료율은 22/1,000)으로 분류해 이에 해당하는 산재보험료를 부과했다면 이는 위법·부당하다는 행정심판 결정을 내렸다.

권익위에 따르면 반도체 생산장비의 이상을 예방하기위해  주기적으로 반도체 생산장비를 테스트 및 세정하는 업무를 하는 사업장을 운영하는 A씨는 군로 복지공단에 2013년1월 위사업장의 산재 보험사업종류를 `각종 기계또는 동부속품 제조업`이아닌 이보다 산재 보험률이 저렴한  `전자 제품제도업`(산재보험료7/1,000)으로 변경해 달라고신청했으나 근로복지공단은 위 업무는 기계장치의 수리업이아닌 이유로 이를 거부하여 이에 이는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업무라며 행정심판을 청구한바있다.

당초 A씨가 운영하는 사업장의 업무를 기계장치 수리업으로 보아 ‘각종 기계 또는 동 부속품 제조업’으로 분류해 산재보험료를 부과했던 근로복지공단은 위 사업장이 수행하는 업무는 반도체 생산장비를 정기적으로 세정하여 기계를 유지관리하는 것이므로 기계장치의 수리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에 대해 중앙행심위는 위 사업장의 업무는 반도체 생산장비의 이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고장난 기계장치의 수리로 보기는 어렵고, 간접적으로 반도체 생산과정의 일부를 맡고 있으며 기계장치의 수리업무는 다른 업체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근로복지공단이 A씨의 사업장의 사업종류를 기계장치 수리업으로 판단하여 산재보험료를 부과한 것은 위법·부당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행정심판 결과에 따라 A씨의 사업장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산재보험 사업종류를‘전자제품 제조업’으로 적용받아 기존에 부과받은 요율보다 낮은 요율의 산재보험료를부과받을 수 있어 보험료를 절감할수있게 됐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