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 검정 '살포기, 2개사 3개모델'

입력 2017년01월17일 16시06분 정지호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검정은 농업인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이자 경제적 손실을 예방.....

[여성종합뉴스]17일 정부는 지난해 6월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 검정방법 및 기준’을 제정하고 오는 8월부터 본격적인 검정에 들어갔다며 농약과 비료살포, 파종 등 농작업용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무인항공살포기(일명 드론)의 검정에 적합판정을 받은 모델은 6개사 7개뿐이며 현재 검정을 진행중인 살포기는 2개사 3개모델로 검정방법 및 기준이 제정되기전에 이미 정부지원대상 농업기계로 진입해 있는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에 대한 처리로 ‘소급적용 불능’ 딱지를 떼어내고 모든 기업이 공평한 입장에서 건전경쟁이 가능토록 제도보완을 서두르고 있다.

검정을 거쳐 적합판정을 받은 무인항공살포기에 대해서만 정부지원대상 농업기계로 선정하여 지원함으로써 농업인의 안정성 확보와 제품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검정기관인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무인항공살포기의 구조조사는 물론 배출성능을 비롯하여 균일살포·살포작업·이착륙과 공중 정지등 성능시험과 조작의 난이도시험, 안전성시험등을 실시하고 적합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현재 정부지원대상 농업기계로 선정돼 공급되고 있는 모델은 14개사 19개로 유일하게 메타로보텍스(주) 만 형식 VAND-A1로 검정을 거쳐 적합판정을 받았다.

나머지는 제도의 소급적용이 되지 않다는 이유로 검정이라는 관문을 거치지 않고도 버젓이 마케팅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에 대한 검정은 농업인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이자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필요불가결한 수단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고 성능상 문제가 야기되면 적기영농에 차질을 빚음으로써 농가에 경제적 불이익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농업용 무인항공살포기는 중국산 무인항공살포기가 시장점유율 70%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