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모바일 메신저 '라인' 글로벌 진출 1위

입력 2014년02월20일 03시42분 홍성찬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국내 포털사 희비를 가른 요인 해외 진출 여부 분석 " 네이버. 다음. SK컴즈"

[여성종합뉴스/홍성찬기자]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국내 인터넷 포털들에 미래부 가이드라인은 사실상 구속력을 즉각 발휘할 것"이라며 "해외포털은 이러한 한국 시장에서만 특수하게 적용되는 '검색 지침'을 따를 이유가 없다"며 우리 정부의 역차별성 규제를 비난했다.

이 같은 이유로 지난해 국내 포털사의 희비를 가른 요인은 해외 진출 여부로 분석된다.
 
네이버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을 앞세워 글로벌 진출이란 오랜 숙원을 해결하면서  라인은 지난해 11월 글로벌 다운로드 수 3억 건을 돌파하면서 포털 3사의 빈부격차는 지난해 4·4분기 네이버의 매출은 6411억원, 영업이익 1543억원을 기록 라인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보다 232.2% 성장한 1369억원으로 나타났다.

 다음의 지난해 4·4분기 매출액은 143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2.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51억원으로 31.4% 감소, 검색과 디스플레이 광고 매출이 늘긴 했지만 마케팅 비용, 수수료 지급 또한 증가해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의 20%에 밑도는 수준을 보였다.

SK컴즈의 2013년 4·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36% 줄어든 275억원, 영업손실 177억원으로  SK컴즈는 대대적인 사업조정과 조직개편에 나서기도 했다.

업계에선 포털3사의 운명을 가른 결정적 요인을 '글로벌 시장 진출'로 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5월 포털의 불공정 행위 현상조사에 착수한 당시, 점유율을 기반으로 조사 대상 업체를 선정했다.

조사대상에는 네이버, 다음, SK컴즈가 포함되었으며 네이트보다 국내 포털 점유율이 높았던 구글코리아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가 되며 역차별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어 지난해10월 미래창조과학부는 '인터넷 검색서비스 발전을 위한 권고안'을 발표하며 국내 포털들이 검색광고 영역의 표시 구분이 미흡해 이용자들이 광고를 인지하지 못한 채 이용하게 된다는 부분을 지적했다.

반면 다음은 뚜렷한 글로벌 진출 모델을 찾지 못했다. 모바일에 집중한다는 전략하에 모바일 메신저 '마이피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시도했지만 시장 선점에 실패했다. 

SK컴즈도 올해는 싸이메라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능을 더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각오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