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명가 기증 출토복 특별전 ‘조선의 옷매무새Ⅳ’ 개막

입력 2014년10월22일 18시34분 이삼규 수습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조선전기 왕실 복식유물 국내 최조 전시

[여성종합뉴스/이삼규수습기자]  22일 경기도박물관(관장 이원복)은 오는 24일부터 내년 1일까지 경기명가의 기증 출토복식을 소개하는 ‘조선왕실 선성군 모자(母子)의 특별한 외출’ 특별전을 개막한다. 아울러 관련 연구 성과에 대한 학술회의를 이날 오후 2시 30분 박물관 강당에서 동시에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에는 조선 9대 국왕인 성종의 증손인 선성군(宣城君) 이흠(李欽 1522~1562)과 그의 어머니인 기성군부인(箕城郡夫人) 평양이씨(平壤李氏 1502~1579)묘역에서 출토된 복식유물이 최초로 공개된다.

유물은 지난 2008년 남양주시에 있던 전주이씨 견성군파 묘역이 신도시개발로 인해 인근으로 이장되는 과정에서 출토됐다.

특별전에는 수습 이후 6년간 수차례의 세척과 복원, 재현과정을 거쳐 정리된 총 100여점의 유물 중 50여점이 출품된다.
 
조선 전기 왕실과 관련된 복식유물이 최초로 소개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전시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1부 ‘어머니 기성군부인 평양이씨의 옷’, 2부 ‘아들 선성군 흠의 옷’, 3부 ‘모자(母子)를 위해 새로 장만한 옷’으로 구성했다.

제1부 ‘어머니 기성군부인 평양이씨의 옷’에서는 임진왜란 이전 왕실가의 여성이 갖추어야할 예복과 일상복을 통하여 왕실 여성 복식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제2부 ‘아들 선성군 이흠의 옷’에서는 당시 관리의 관복인 단령과 관복 안에 함께 갖추어야할 차림구성과 16세기 남자 바지저고리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제3부 ‘모자母子를 위해 새로 장만한 옷’에서는 당시 화려했을 왕실 복식을 현대직물로 생동감 있게 재현하여 준비했다.

이밖에도 기성군부인 평양이씨의 남편인 완산군 이수함의 지석과 지석함, 후손 묘에서 출토된 지석과 명기들도 함께 전시,400~500년 전 조선 전기 왕실 복식문화를 생생히 보여주는 특별전이 국내 최초로 경기도박물관에서 열린다.

특히 일반 관람객과 어린이들이 조선 전통의복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나만의 우리 옷 꾸미기’란 체험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매월 개성 있는 참가자 10명을 선정해 박물관이 제작한 기념품도 증정한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