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사람은 메르스 바이러스 침투해도 이겨내

입력 2015년06월06일 09시01분 백수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만성폐쇄성폐질환, 신장질환 등 기존 앓던 질환 있는 환자는 주의해야

[여성종합뉴스] 6일 세계보건기구(WHO)는 당뇨, 신부전, 만성폐질환, 면역저하 환자를 메르스 감염의 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메르스 바이러스는 폐와 신장을 공격하기에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 같은 만성질환과 신장질환 환자는 더욱 취약할 수 있다며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도 메르스 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며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철저히 관리해야 하고 국민 각자도 면역력을 높이는 데 힘을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사태를 극복하고자 내놓은 '메르스, 꼭 알아야 할 10가지' 자료를 보면, 메르스는 중동에서 발생한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 일반적인 호흡기 증상 외에도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이 있을 수 있고 이런 증상은 감염 후 최소 2일에서 14일 사이에 나타난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전염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2m 이내에서 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 나오는 분비물로 전파되며 비누로 자주 손을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는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기침할 때는 입과 코를 휴지로 가리고, 발열이나 기침이 있는 사람과는 접촉을 피해야 한다.


환자와 밀접 접촉을 했으면 증상이 없더라도 보건소에 연락해야 하고 가족과 주변 사람을 위해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


환자와 밀접 접촉을 했거나, 중동지역을 방문하고 14일 이내에 메르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환자는 증상에 따른 치료를 받으며, 중증은 인공호흡기, 혈액 투석 등 집중 치료를 받는다. 증상과 발열이 48시간 이상 없고, 유전자검사 결과가 24시간 간격으로 2회 음성이면 퇴원한다.


의료진이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으니 반드시 손 씻기, 일회용 가운과 장갑, N95 마스크, 눈 보호 장비를 갖춰야 한다.
http://www.cdc.go.kr/CDC/info/CdcKrHealth0293.jsp?menuIds=HOME001-MNU1132-MNU1013-MNU1914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