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회사에서 문화기업'15조 사업으로 CJ,

입력 2015년09월03일 15시40분 육성환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해 기준 3조6000억원 규모의 문화 사업을 5년 후인 2020년까지 15조6000억워으로 확대, 글로벌 ‘톱 10’ 안에 들겠다는 목표

[여성종합뉴스]  3일 CJ그룹이 식품회사에서 글로벌 문화기업으로 도약에 나섰다.

지난해 기준 3조6000억원 규모의 문화 사업을 5년 후인 2020년까지 15조6000억워으로 확대, 글로벌 ‘톱 10’ 안에 들겠다는 목표다.


CJ그룹은 지난2일 서울 중구 필동 CJ인재원에서 문화 사업 진출 20주년 관련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채욱 CJ그룹 대표는 “문화 산업은 한국 경제를 먹여 살릴 차세대 핵심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해외 시장에 진출해 문화 사업 규모를 4배 이상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CJ그룹은 CJ E&M과 CJ CGV, CJ헬로비전 등 3개 계열사를 통해 영화 제작부터 TV채널까지 다양한 문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매출 3조6000억원이다.

국내에서는 ‘문화 대기업’으로 손꼽히지만, 실제로 세계 1위 문화 기업인 컴캐스트는 2013년 기준 매출 70조원, 월트디즈니는 50조원에 이를 정도로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CJ그룹은 이들과 경쟁을 위해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을 세웠다.


먼저 CJ CGV는 현재 한국과 미국, 중국 베트남 등 6개 국가에 1637개를 보유한 스크린을 2020년까지 12개국 1만여 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전체 스크린의 약 80%와 매출의 65%를 해외에서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이 목표가 달성되면 CJ CGV의 관람객은 현재 1억3000만명에서 7억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CJ CGV는 전 세계 영화 관람객의 8%를 차지하는 톱 클래스 극장 기업이 된다.

지난해 세계 극장기업 1위를 차지한 완다 시네마의 관람객 점유율은 3.5%였다.

CJ E&M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 개발을 맡는다. 영화사업부문은 중국과 동남아 현지 합작 영화를 제작하고 배급하는 것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글로벌 기업들은 활발한 인수합병이나 제휴를 통해 몸집을 불리고 있다”며 “CJ가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면 10조원가량의 투자가 필요한데 최고 경영진 부재로 과감한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연예가 화제

동영상뉴스

포토뉴스

독자기고

민일녀
백수현
조용형